[아도와 구미 선산] 구미 선산의 유학과 불교
상태바
[아도와 구미 선산] 구미 선산의 유학과 불교
  • 이지범
  • 승인 2023.09.22 15: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오산에 서린 야은 길재의 꿈
‘야은역사체험관’에 소장된 야은 길재 초상 모사본 

경북 구미의 금오산은 5세기에 아도화상이 지은 이름이다. 아도화상이 어느 날 이곳을 지나다가 저녁노을 속으로 황금빛 까마귀, 즉 태양 속에 산다는 금오(金烏)가 날아가는 모습을 보고 태양의 정기를 받은 산이라 하여 부르게 됐다. 선산에서 보면 붓끝 같아서 ‘필봉(筆峰)’, 칠곡·인동에서 볼 적에 산릉선이 사람 얼굴 같다고 하여 ‘금오산 와불(臥佛)’이라 부른다. 다르게는 귀인이 관을 쓴 것 같아서 ‘귀봉(貴峰)’, 금릉·개령에서는 도적이 짐을 지고 내려오는 모습이라 하여 ‘적봉(賊峰)’ 등으로 불린다. 

조선시대에는 ‘금오동학(金烏洞壑)’이라 불렸다. 금오산이 웅장한 기암괴석으로 된 절경이라는 뜻이다. 이 초서 글씨는 16세기 중엽에 고산 황기로가 쓴 것으로 케이블카 승강장에서 등산로 150여m를 오르면 보이는 너럭바위에 새겨져 있다. 해동초성(海東草聖)으로 불린 고산은 “초서 필법이 신비롭고 기이해 마땅히 우리나라의 종장(宗匠)으로 삼는다”라고 근대 서예가 오세창이 평가한 인물이다. 금오산 정상에서 서남쪽에 있는 폭포 벅시소 주변의 암벽에는 신선이 사는 ‘금오동천(金烏洞天)’이란 글자도 남아 있다.

고려 후기부터 금오산은 황해도 해주의 북숭산(北崇山)과 함께 남숭산(南崇山)으로도 불렸다. 1342년 원나라 순황제가 북숭산 신광사를 그의 원찰로 지정해 중창할 무렵, 금오산을 남숭산이라 하여 짝을 이뤘다. 중국의 5대 명산 가운데 으뜸인 숭산에 비겨 손색이 없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고려문하주서 야은길선생 유허비(高麗門下注書 冶隱吉先生 遺墟碑). 채미정 비각 안에 있다.

야은 길재

고려 개경에 알려진 남숭산이란 이름은 1390년 초봄, 야은 길재의 낙향으로 더 알려졌다. 야은 길재는 고려에서 조선으로 왕조가 바뀌는 정치격변기에 ‘두 임금을 섬기지 않는다’는 절의(節義) 정신을 지켰다. 이는 “오백 년 도읍지를 필마로 돌아드니, 산천은 의구한데 인걸은 간데없다. 어즈버 태평연월이 꿈이런가 하노라”는 〈회고가〉를 쓴 야은 길재가 한창 일할 나이인 38세에 늙은 어머니를 모셔야 한다는 핑계로 벼슬을 버리고, 고향인 선산으로 돌아온 그의 인생사와도 직결돼 있다. 

금오산인(金烏山人)이라는 호와 같이 야은 길재는 금오산과 밀접한 인물이다. 그는 구미의 옛 이름인 선주(善州)와 선산의 옛 이름인 일선(一善) 지방의 ‘열 명의 철인(십철十哲)’에 의해 더욱 빛을 발했다. 그들은 선산부사였던 점필재 김종직이 1477년 선산의 자랑 열 가지를 찬탄한 시에 수록될 정도였다. 고려 말기에는 유학자들이 세상에 도가 사라졌다고 여겼다고 한다. 고려가 멸망하고 조선이 건국되자 ‘두문동 72현’과 일부는 은둔을 통해 자신의 지조를 지키려고 했는데, 야은 길재도 그중 한 명이었다.

목은 이색·포은 정몽주·도은 이숭인과 더불어 고려 말 ‘사은(四隱)’으로 불린 야은 길재(冶隱吉再)는 본관이 해평으로, 경북 선산군 고아면 봉계(봉한리) 출신이다. 1386년 34세에 문과 급제하고, 성균관 박사를 거쳐 문하주서에 올랐으나 노모를 봉양하기 위해 고향에 돌아왔다. 조선 초기에 태상박사의 관직을 내렸으나 두 왕조를 섬길 수 없다며 출사를 거부하고 금오산에 은거해 절의를 지켰다. 1419년(세종 원년) 67세로 별세한 후, 1427년에 통정대부 사간원 좌사간 대부지제교 겸 춘추관 편수관으로 추증됐다. 사후 1741년에 ‘충절(忠節)’이라는 시호가 내려져 그의 충절과 고매한 학덕을 추모했다. 

그는 포은 정몽주의 제자로, 성리학의 원류로서 금오산 일대가 ‘조선 성리학의 산실’이라는 명성을 이루는 데에 바탕이 된 사람이다. 구미 성리학 역사관에는 조선 중엽까지 유학의 개조인 공자를 기리면서 곡부비림(曲阜碑林, 중국 산동성 취부의 비석 숲)과 서안비림(西安碑林, 중국 산시성 시안의 비석 숲)이 이곳에 만들어졌을 만큼 유학의 본고장이 됐다. ‘성리학의 정통 계보는 고려 말 성리학을 체계화한 포은 정몽주로부터 야은 길재 - 강호 김숙자 - 점필재 김종직 - 한원당 김굉필 - 정암 조광조에게로 이어진다’는 이른바 도통설(道通說)이 정립됐다.

특히 야은 길재는 1390년 1월 고려 우왕의 부고를 듣고 채소·과일과 혜장(醯醬, 식초와 장) 따위를 먹지 않고 3년 상을 행했다. 그가 고려 왕조에 대해 표시한 신하로서의 마지막 의리였다. 이로부터 기원전 1100년 고대 중국 은나라 말기의 백이와 숙제 전설에다 비유됐다. 그가 살던 곳에는 1768년 선산부사 민백종이 선산 유림과 함께 ‘고비를 뜯는다’는 뜻의 정자 채미정(採薇亭)을 세웠고, 1828년에 다시 고쳐 지었다. 

경상도 관찰사 남재는 1403년 야은이 거처하던 금오산 산기슭에 가묘로 야은사(冶隱祠)를 건립했다. 구미 도량동 사당 주변에는 절의를 상징하는 ‘야은대나무(冶隱竹)’가 무성한데, 지금의 사당은 1972년 후손이 중수한 것이다. 

겸암 류운룡은 1587년 경북 구미 오태동에 묘역을 정비하고 ‘동방의 백이숙제’로 불린 길재의 글자를 모사해 「지주중류비(砥柱中流碑)」를 세웠다. 비석에 갓이 없는 것은 천연의 바위인 지주를 뜻한다. ‘지주중류’라 함은 중국 황하 중류의 석산이 마치 돌기둥처럼 생겨 혼탁한 물 가운데 있으면서도 흔들리지 않는 것을 말한다. 고려 왕조에 절의를 지킨 길재를 은유한 것으로, 원래 비석은 홍수로 매몰되고 지금 비석은 1780년에 다시 세운 것이다.

금오서원. 본래 금오산 자락에 있었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됐고 1602년 선산읍에 새로 세웠다. 
금오서원 정학당(正學堂)(보물). 학문을 논하던 장소로 서원의 핵심적 기능을 담당했다. 
상현묘(尙賢廟)(보물). 길재, 김종직, 정붕, 박영, 장현광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1570년에 금오산 기슭, 지금의 금오지(금오산저수지)에 건립한 금오서원은 야은 길재만을 배향하고, 1575년에 사액(賜額)됐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됐다. 1602년 선산부사 김용이 지금의 선산읍 남산에 복원, 1609년에 사액과 중건하면서 이 고장 출신을 비롯한 김종직·신당 정붕·송당 박영·여헌 장현광 등 다섯 명의 유학자를 봄·가을 두 차례 제향하고 있다. 1871년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도 제외됐다. 이 밖에도 인동 오산서원, 금산 성곡서원·청풍서원 등에 제향된 유적과 자취들이 남아 있다.

금오서원 정학당 벽에 붙어 있는 ‘금오서원 원계칠조(院戒七條)’ 편액. 7가지의 조목이 적혀 있다.

금오서원의 대성전인 상현묘와 강당(정학당正學堂), 동서재, 읍청루(揖淸樓, 맑은 시냇물이 비치는 누각) 등이 남아 있다. 중심 건물인 정학당에는 학생들이 서원이나 가정에서 지켜야 할 생활 규범 7가지를 적은 ‘금오서원 원계칠조(院戒七條)’를 붙였다. ① 창과 벽에 낙서하거나, ② 책을 망가트리거나, ③ 놀면서 공부를 안 하거나, ④ 함께 살며 예의가 없거나, ⑤ 술이나 음식을 탐하거나, ⑥ 난잡한 이야기를 하거나, ⑦ 옷차림이 단정하지 않은 것 그리고 이 7가지를 어긴 자가 왔으면 돌아가고, 아직 오지 않았다면 오지 말라고 했다. 이 현판을 볼 때마다 당시 학생들은 무엇을 느꼈을까. 이 규칙을 어겼을 경우 학생들에게는 어떠한 조치가 취해졌을까. 생각할수록 궁금해진다. 

금오지(금오산저수지)에서 보이는 금오산 전경<br>
금오지(금오산저수지)에서 보이는 금오산 전경

 

야은 길재와 불교와의 인연

성리학의 고장으로 기억되는 구미 선산은 유유히 흐르는 낙동강처럼 야은 길재와의 불교 역사도 남기고 있다. 성리학의 다른 이름은 ‘도학(道學)’이다. 즉 자신을 수련해서 스스로 도덕을 실천하고, 나아가 관직에 올라 왕을 왕의 도리(王道)로 이끌며, 사회 구성원이 인도를 실현할 수 있도록 치인(治人)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는 수기치인(修己治人)이다. 이를 위해 선비에게는 강인한 의지와 도학에 대한 믿음, 도학을 실천하려는 사명 의식이 필요했다. 사림(士林), 즉 선비가 유학을 공부하는 까닭은 배움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었다. 도를 배우고, 이를 실천하는 사람이 되는 것이 최종 목표였다. 야은 길재는 금오산에서 꿈꾸며 수련한 “어진 사람을 높이면 의혹 되지 않는다”는 『중용』의 가르침을 깨쳤다. 

그는 38세에 낙향한 다음, 금오산 지역의 사찰과 본격적인 교우를 가졌다. 특히 신라 말, 도선국사가 창건한 금오산 대혈사(大穴寺, 지금의 해운사)와 절 뒤편의 도선굴(道詵窟)에서 도학을 익혀 16세기 조선 사상계의 혁신을 일으킨 성리학의 원조가 됐다. 

1403년(태종 3)에 당시 경상도 관찰사였던 남재가 길재가 거처하던 곳에 가묘로 건립한 사당 ‘야은사’. 1972년 후손이 중수한 것이다.

불교계와의 첫 인연은 서당 수업이 어려웠던 11세에 고향 집 인근의 구미 해평면 태조산(냉산) 남쪽 기슭의 도리사에서 처음 글을 배우면서다. 18세가 되던 1370년부터 경북 상주의 상산사록(商山司錄, 상주 현감의 보좌역) 박분(朴賁)에게서 성리학의 체계적인 수업을 받은 그는 후일 개경으로 올라가기 전까지 상주 남장사, 선산 도리사 학승들과 교류하며 지냈다. 31세 되던 1383년 사마감시(司馬監試, 진사와 생원 선발시험)에 합격하고, 그해 중랑장 신면의 딸과 혼인하던 날에도 금오산 승려들을 하객으로 초청했다고 전한다. 또 그의 아우인 구(久) 역시 출가한 승려였으나 후일 경학(도학)을 닦아 생원시에 급제했다고 길재의 행장에 기록됐다.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의 쿠데타에 저항하며 낙향한 야은 길재가 금오산에 입산한 까닭은 과연 무엇이었을까? 고려인으로 조선 개국과 함께 생을 마감한 스승 포은과 조선의 신하 되길 거부하며 후학 양성에 힘쓰다가 생을 마친 야은. 두 사람은 조선과 악연이었으나 조선에 미친 영향은 매우 컸다. 

 

사진. 유동영

 

이지범
평화통일불교연대 운영위원장과 북한불교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1984년부터 불교민주화운동과 통일운동에 참여하다가 1990년 초 법보종찰 해인사에 입산 환속했다. 1994년부터 남북불교 교류의 현장 실무자로 2000년부터 평양과 개성·금강산 등지를 다녀왔으며, 저서 『남북불교 교류의 흐름-남북불교 교류 60년사-』, 논문 「북한 주민들의 종교적 심성 연구」 등이 있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