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도와 구미 선산] 선산의 탑, 통일신라를 말하다
상태바
[아도와 구미 선산] 선산의 탑, 통일신라를 말하다
  • 박찬희
  • 승인 2023.09.22 14: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탑과 사지
죽장리 오층석탑(국보). 죽장사 경내에 있다. 돌을 벽돌 모양으로 만들어 세운 모전석탑으로 분류한다. 높이가 10m에 이르며 벽돌 모양의 오층석탑으로는 국내에서 가장 높은 탑이다.

“정말 경주밖에 없는 걸까?”

통일신라를 대표하는 문화유산을 꼽자면 제일 먼저 석굴암과 불국사가 떠오른다. 다음으로 경주 남산, 감은사지 삼층석탑, 포석정, 월지(月池, 옛 이름은 안압지)가 뒤를 잇는다. 모두 신라의 수도 경주 지역에 몰려 있다. 경주 이외에 꼽을 만한 지역은 어디가 있을까? 충주에 있는 탑평리 칠층석탑 등 개별 문화유산은 어렵지 않게 떠올라도 지역은 선뜻 떠오르지 않는다.

경주에서 서북 방향으로 가면 구미 선산 지역이 나온다. 이곳은 낙동강이 흐르고 강 주위로 너른 들판이 펼쳐지며 산이 주위를 둘러쌌다. 이런 지역은 예부터 사람이 살기 좋고 문화가 발달하기 알맞은 곳이다. 더구나 아도화상이 신라에 처음으로 불법을 전한 곳이 이곳이다. 이 정도라면 눈여겨볼 통일신라의 문화유산이 여럿이지 않을까.

마침 선산 지역에는 통일신라 때 세운 탑들이 전한다. 죽장리 오층석탑(국보), 낙산리 삼층석탑(보물), 주륵사 폐탑이 대표적으로 통일신라 문화의 절정기에 세워졌다. 이 탑들은 ‘공든 탑이 무너지랴’라는 말처럼 오랜 세월 제자리를 굳건하게 지키며 지역의 랜드마크가 되기도 했고, 세월과 인간의 욕심에 무너지기도 했다. 비록 처음 모습과 달라졌어도 탑들은 온몸 깊숙이 간직한 이야기를 언제라도 나눠줄 준비가 됐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