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팔환초
팔공산 북쪽에서 비로봉을 바라보며 오르는 정상 부근의 오도암 가는 길을 좋아한다. 비로봉 정상의 군사·통신시설까지 오르는 찻길이 있다. 적당한 곳에 차를 세워 두고 걷는 것이 당연히, 좋다. 가파른 산길이 호젓하다. 거대한 바위 아래 위치한 오도암이 남루한 대로 꾸밈이 없어서 좋다. 절이라고는 하지만, 유서 깊다는 말만 강조될 뿐 볼만한 게 없음에도 큰 바위 아래 동그마니 앉은 자세가 좋은 것이다. 10년 전에는 더 그러했다. 해우소에서 쪼그려 앉아서 바라보는, 절벽 아래로 펼쳐지는 산들과 골짜기의 장쾌한 풍경도 더 없이 매력적이었다. 그러나 세월은 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오도암도 꽤 정비가 이뤄지고 있다. 해우소도 옛날식의 불편한 구석은 없어졌다. 그래도 쉼터며 기도처로는 여전히, 아주 괜찮다. 팔공산은 그렇게 늘 새롭게 낯을 익히며 찾아지는 산이다.
이처럼 친근하게 여겨지니, 등산객도 끊이지 않는다. 팔공산 등산 코스로 잘 알려진 ‘가팔환초’는 대구 사람이라면 꼭 밟아보고 싶어 하는 산길이다. 가산~팔공산 정상~환성산~초례봉으로 이어지는 트레킹 코스로 40여 킬로미터, 백여 리에 이르는 거리다. 가산산성에서 출발하거나 초례봉에서 출발하는 이 코스는 팔공산의 등뼈를 밟는 만만치 않은 여정으로 이어진다. 보통 꼬박 이틀을 잡아야 한다. 그보다 더 걸릴 수도 있다. 그래서 전 코스를 몇 개로 나눠 짬을 내어서 한 코스씩 도전하기도 한다. 긴 능선의 거대한 바위들 사이로 난 길은 하늘을 걷는 기분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전문 산악인이 아니면 엄두를 내기가 쉽지 않을 정도로 힘든 코스다. 높은 산의 위용에도 대구 시민들은 팔공산을 ‘우리의 산’이라며 늘 친근하게 대한다. 스스럼없이 밟아 오르려 한다. 자주 동봉을 오르고, 염불암의 바위 등에 새겨진 부처님들을 대하는 예가 간절하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