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구벌 팔공산] 약사 신앙의 성지
상태바
[달구벌 팔공산] 약사 신앙의 성지
  • 노승대
  • 승인 2022.11.30 17: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팔공산에 깃든 약사 부처님
팔공산 관봉(冠峰)에서 바라본 대구 시내. 갓을 쓴 부처님이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 관봉이다. 팔공산 동쪽 끝자락에 있으며, 경북 경산에 있다. 

산은 겨레의 기도처

평야보다 산이 많은 나라가 우리나라다. 국토의 70%가 산이니 아무리 넓은 평야라도 산이 보이지 않는 곳은 없다. 산은 하늘과 가까운 장소로 신령이 머물거나 천계의 신령이 내려오는 장소다. 당연히 민족의 역사도 산에서 시작한다. 환웅이 아버지 환인의 허락을 얻어 바람의 신 풍백(風伯), 비의 신 우사(雨師), 구름의 신 운사(雲師)를 거느리고 천상에서 태백산 신단수 아래로 내려오는 것이 한민족 역사의 첫걸음이다.

한민족에게 있어 산은 정복의 대상도 아니고 체력을 보강하는 헬스센터도 아니다. 엄숙하고 숭고한 기도처로서 우리 선조들은 ‘산에 오른다(등산)’는 말 대신 ‘산에 든다(입산)’는 말을 썼다. 신성한 영역, 신령님의 품속으로 들어간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말이다. 산에서는 술 마시고 떠드는 일도 자연히 삼갔다. 심지어 민족의 조산(祖山)이자 성산(聖山)인 백두산에 들어갈 때는 변기를 따로 휴대했다. 더러운 배설물을 신성한 산에 함부로 버릴 수 없다는 생각을 누구나 가지고 있었다는 뜻이다. 1926년 최남선의 「백두산 근참기」나, 1936년 백두산 탐험대에 참가한 류달영 박사의 회고록에 그런 내용이 실려 있다. 지금도 한민족은 어떤 종교를 가지고 있든 간에 명산대찰과 크고 작은 암자와 기도원과 만신들의 치성터가 거의 모두 산에 흩어져 있다. 

그렇다면 산의 표상은 무엇일까? 두말할 것도 없이 바위다. 최남선은 우리 문화의 특징으로 “돌은 산악의 표상이라 하고 이를 통해 태양과 천(天)을 숭배함”이라 했다. 당연히 좋은 바위가 많이 있는 산이 기도처가 되고, 대대로 전승돼 내려왔다. 한반도에서 좋은 바위란 바로 단단한 화강암이다. 영험 있는 기도처에는 화강암 바위가 많다. 화강암에 둘러싸인 곳이면 더욱 좋다. 남해 보리암도 그렇고, 강화 보문사도 그런 곳이다. 도인이 많이 난다는 금강산도 마찬가지다. 서울 북한산, 경주 남산도 다 이런 곳에 해당한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