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구벌 팔공산] 팔공산의 신화와 전설
상태바
[달구벌 팔공산] 팔공산의 신화와 전설
  • 이지범 
  • 승인 2022.11.30 17: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여덟 고을의
이야기를 품은 뫼
동화사 비로암 뒤로 병풍처럼 서 있는 팔공산 모습

그간 우리는 1902년 일본 지질학자 고토 분지로가 만든 〈산맥도〉에 의해 잘못 배웠다. 여암 신경준은 1770년에 만든 『산경표(山經表)』에서 우리나라 산줄기를 1대간, 1정간, 13정맥으로 분류했다. 한반도의 조종산(祖宗山, 나라의 중심 산) 백두산에서 시작돼 갈라진 산줄기는 모든 강의 유역을 나눴다. 동해와 서해로 흘러드는 강을 양분하는 큰 산줄기를 대간·정간이라 하고, 그로부터 갈라져 각각의 강을 경계 짓는 분수산맥을 정맥이라 했다. 

이 기록에 포함되지 않는 큰 산이 영남의 팔공산이다. 한반도의 산줄기 어디에도 의지하지 않는 독산으로 큰 산이었기에 모두 ‘공산(公山)’으로 불렀을지 모른다. 신라 때부터 중악·부악(父岳)·공산·악산 등으로 쓰고 부른 팔공산의 이름은 1530년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공산은 팔공산(八公山)이라고도 일컫는다”고 처음 기록됐다. 1861년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에 다시 기록돼 그 명칭이 현재까지 쓰인다.

산 이름과 같이 붙이는 영남(嶺南)이란 지명은 고갯마루 남쪽이라는 데에서 유래됐다. 경상도 지방의 다른 이름이기도 한 영남은 158년(아달라왕 5) 신라시대에 개설된 죽령(竹嶺)과 1414년 조선 태종이 관도로 개설한 조령(鳥嶺, 일명 문경새재) 두 고개의 남쪽 지역을 일컫는 이름이다. 영남이란 지명도 고려 때인 995년(성종 14)에 확정된 명칭이다. 1106년(예종 1)에 경주·금주(김해)와 상주와 진주·합주(마산)의 앞 글자를 따와 경상진주도라고 했다가 1186년(명종 16)에 경상주도, 1314년(충숙왕 1)부터 경상도라 불렀다.  

이곳의 중심인 팔공산은 7세기 신라 진평왕 때 지정된, 다섯 곳의 산을 신격화하고 호국 사상으로 발전한 오악 사상에서 중앙의 부악으로 표기된 으뜸 산이었다. 우리 조상들은 두 날개를 쫙 편 봉황새의 모양이라 했다. 지금이야 위성지도와 드론 등을 통해 알 수 있는 지리 정보지만, 그 옛날 팔공산의 산세를 봉황으로 형상화해 낸 것은 경이롭고 심미적이다. 풍수지리적으로 ‘봉황이 알을 품은 형상’의 산세는 봉황이 양 날개를 쭉 펼치고 있는 것처럼 동서로 나뉘어 솟아 있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