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망에 굶주린 귀신, 아귀] 탱화 속 전통연희
상태바
[욕망에 굶주린 귀신, 아귀] 탱화 속 전통연희
  • 서지은
  • 승인 2023.07.26 15: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솟대타기, 땅재주, 사당 놀이
〈감로탱〉 부분도, 리움미술관 소장 
‘사무신녀(師巫神女)’ 글씨 주위로 무녀와 사당패, 죽공놀이를 하는 연희자와 솟대 위에서 악기를 부는 연희자가 보인다. ‘해수악사(解愁樂士)’ 옆에는 탈을 쓴 연희자가 노래를 부른 뒤 이어서 인형극을 펼치고 있다.

감로탱화의 연희(演戱)

감로탱은 수륙재를 거행할 때 거는 탱화로 우란분재를 설행할 때도 걸었다. 감로탱은 상단(上壇)에 중생을 구제하기 위한 불보살을 배치하고, 중단(中壇)에 재(齋) 의식 장면, 하단(下壇)에는 육도윤회상이 그려져 있다. 하단의 육도윤회상에는 아귀나 지옥고(地獄苦)뿐 아니라 천상, 인간, 아수라, 축생의 고통상을 인간 세상의 다양한 현실 생활에 비유하여 표현하고 있다. 하단에서는 전통연희(演戱)와 연희자(演戲者)의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연희자의 모습은 죽은 사람의 생전 모습을 재현한 것으로 수륙재의 구제 대상이다. 그리고 연희자가 연희를 펼치는 모습은 수륙재를 설행하는 현실의 수륙 도량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도 보인다. 죽은 이의 극락왕생과 구원을 염원하는 수륙재, 혹은 우란분재에 왜 놀이가 펼쳐질까? 그 이유를 찾아가 보자.

감로탱의 하단에 등장하는 전통연희에는 솟대타기, 땅재주, 접시돌리기(버나), 죽방울치기, 탈춤, 인형극, 줄타기, 검무 등이 나타난다. 이러한 연희의 전통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을 거쳐, 현대까지 이어지고 있다. 특히 땅재주, 솟대타기, 죽방울치기, 줄타기 등은 동아시아 공통의 연희 종목인 산악백희(散樂百戱) 종목의 일종이다. 

이들 종목은 삼국시대에 중국과 서역으로부터 유입돼 고구려 고분벽화의 잡희, 신라의 향악 5기(5가지 놀이), 고려의 연등회 및 팔관회의 잡기, 조선시대 나례(악귀를 쫓기 위해 베푸는 궁궐 의례)나 사신 영접 행사, 문희연(과거 급제자의 자축 연희)의 산대희(탈놀이)나 산대 잡극, 유랑예인 집단의 연희, 일제강점기 서커스, 오늘날의 남사당놀이로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솟대타기, 쌍줄백이, 쌍줄타기, 죽방울치기 등 몇몇 연희는 전승이 단절돼 모습이 사라졌지만 땅재주, 줄타기, 접시돌리기, 인형극 등은 중요무형문화재 제3호 남사당패 연희로 현재까지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감로탱에 나타난 전통연희는 19세기 초까지 땅재주, 솟대타기, 사당의 연희가 중점적으로 나타났다. 19세기 중반부터 땅재주와 솟대타기는 거의 사라지고 줄타기, 죽방울치기, 사당의 연희, 검무가 주로 연행된다. 사당의 연희는 감로탱의 제작 이전부터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전통연희다. 그런데 감로탱에 그려진 연희는 산악백희의 다양한 종목 중 솟대타기와 땅재주에 집중돼 있다. 그것은 솟대타기, 땅재주가 여타 종목에 비해 감로탱의 주제를 잘 반영하며, 불교 사상 및 경전과 관련이 깊기 때문일 것이다. 

쌍줄백이

〈조전사 감로탱〉(1591)을 통해, 쌍줄백이(솟대타기)와 땅재주, 탈춤을 살펴보자. 〈조전사 감로탱〉에 그려진 솟대타기는 쌍줄백이이다. 쌍줄백이는 솟대에 줄을 연결하여, X 자 모양의 가로목뿐만 아니라, 줄 위까지 연행공간을 확대한 솟대타기의 일종이다. <조전사 감로탱>의 쌍줄백이에는 세 명의 연희자가 등장한다. 두 명의 연희자는 가로목 위에서 연행을 하고, 한 명은 줄 위에 있다. ①솟대 위에서 연행하는 한 명은 꼭대기에 위치한 X 자 모양의 가로목에 두 발을 걸쳐 거꾸로 매달려 있고, ②다른 한 명은 가로목 위에서 물구나무서기를 하고 있다. ③줄 위에 걸쳐 앉은 연희자는 두 손을 어깨 위로 들고 양손을 까닥하는 것으로 보아, 춤을 추는 모습이다. 

솟대타기의 장대 주변에는 땅재주를 연행하는 연희자가 두 명 보인다. ④한 명은 전형적인 땅재주 연희자로 두 손을 땅에 짚고 몸을 거꾸로 세우고 있다. ⑤다른 한 명은 탈을 쓴 연희자로 탈춤를 연행하고 있는데 그 연희 내용이 몸을 거꾸로 세우는 물구나무라는 점이 신기하다. 즉 탈춤, 솟대타기, 땅재주 연희자가 모두 물구나무서기라는 동일한 연희 기교를 보여준다. 그렇다면, 감로탱에 나타난 솟대타기, 쌍줄백이, 땅재주 등의 연희에서 유독 ‘거꾸로 서기(물구나무서기)’가 많이 그려진 이유는 무엇일까? 

감로탱은 죽은 사람들을 지옥에서 건져 극락왕생을 맞이하는 과정을 하단에서 중단, 중단에서 상단으로 전개하는 구성이다. 하단과 중단의 내용은 목련이 어머니를 구하는 우란분재의 내용과 관련이 깊다. 3개월간 수행인 하안거(夏安居)를 마친 스님에게 공양하고 부처의 가피력에 힘입어 고혼이 지옥에서 구해지는 과정을 그렸다. 

중단과 상단은 지옥에서 구원되고 감로(甘露)를 시식(施食)하며 극락왕생을 하게 되는 장면이 그려져 있다. 이 시식 장면이 아난존자와 관련이 있다. 당대 서역승 실차난타가 번역한 『불설구면연아귀다라니신주경』을 보면, 아귀의 왕인 면연귀왕은 아난에게 “무수한 아귀와 브라만 선인들을 위하여 시식을 제공하라”고 했다. 이처럼 감로탱은 아난존자의 수륙재와 목련존자의 우란분재와 관련이 있다. 감로탱의 하단 부분을 해석할 때는 그러한 사실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장춘석의 연구에 따르면, “우란분은 ‘거꾸로(접두사 ava) 매달리다(어근 lamb)’라는 뜻을 지닌 산스크리트어 아왈람바나(avavlambana)에서 유래”했다. 우란분재의 별칭인 해도현(解倒縣)도 ‘죄를 짓고 지옥에서 거꾸로 매달려 고통받는 조상들의 혼백을 구해주고 풀어낸다’를 뜻한다. 감로탱 하단이 『우란분경』의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면, 하단의 솟대타기·땅재주·줄타기에서 몸을 거꾸로 세우거나 거꾸로 매달리는 연행은 지옥불에 매달려 있는 무주고혼들을 형상화한다고 볼 수 있다.  

감로탱은 불교 의례가 있는 날, 실제 도량에 모인 현실의 인물을 재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하단에 그려진 솟대타기, 땅재주 연희자의 연행 모습은 현실의 불교 도량에서 지옥도를 형상화한 연희가 펼쳐지는 장면이라고 여겨진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