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연이 꿈꾼 삼국유사 비슬산] 일연의 자취(3) 인흥사와 용천사
상태바
[일연이 꿈꾼 삼국유사 비슬산] 일연의 자취(3) 인흥사와 용천사
  • 신선혜
  • 승인 2023.03.28 19: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삼국유사를 꿈꾸다
인흥사(仁興寺) 터 3층 석탑. 일연 스님이 중창하면서 왕이 친필로 인홍사(仁弘寺) 현판을 하사해 이름이 바뀌었다. 지금은 폐사돼 ‘남평문씨 세거지’가 위치한다. 석탑만이 이곳이 절터였음을 보여준다. 

 

다시 비슬산으로

『삼국유사』는 일연 스님의 대표 저술로, 『삼국사기』와 함께 삼국의 역사와 문화를 복원하는 제1의 사료다. 특히 한국 고대부터 고려에 걸친 불교문화에 대한 방대하고, 때로는 착종된 기록을 수집・정리하고 현장을 직접 답사한다. 이처럼 일연 스님은 잃을 수도 있었던 불교 전통을 보존하기 위해 스님으로서뿐만 아니라 학자적 태도로 『삼국유사』를 집필했다. 이러한 가치는 일찍이 『삼국유사』를 처음으로 근대적인 활자로 간행한 최남선이 “삼국유사는 어느 의미로 말하면, 조선 상대(上代)를 혼자 담당하는 문헌이라고도 할 만하니, 조선의 생활과 문화의 원두(源頭)와 고형(古形)을 보여주는 것이 오직 이 책에 있을 따름이다”라고 한 점에서도 알 수 있다. 이러한 『삼국유사』의 찬술을 꿈꾼 곳이 바로 비슬산이었다. 

일연 스님이 생애 중 가장 오랜 시간을 보낸 곳 역시 비슬산이다. 군위 인각사에 세워진 「보각국존비」에 따르면, 스님은 여러 사찰을 두루 다니며 수행했지만 특히 비슬산에서는 상당 기간 주석하며 장년기를 보냈다. 비슬산에서 젊은 시절 20여 년을 머물다가 강화도, 남해 등 당시 중앙권력과 가까운 지역으로 옮겨갔다. 하지만 60세 가까운 나이에 다시 비슬산으로 돌아온 것을 보면 비슬산에서의 수행이 일연 스님의 행보에 많은 영향을 줬을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스님이 비슬산으로 돌아와서 가장 먼저 향한 곳은 인흥사(仁興社)였다. 인흥사는 비슬산 북쪽 기슭, 현 대구 달성군 화원읍 천내리로 비정된다. 지금은 통일신라 때 만든 것으로 보이는 3층 석탑만이 이곳이 절터임을 말해주지만, 일연 스님이 주석한 이후 조선 초까지 인흥사는 사세(寺勢)를 유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인흥사라는 이름은 원래 인홍사(仁弘社)였던 것을 일연 스님이 중창하자 왕이 친필로 현판을 하사하면서 바뀐 것이다. 그만큼 고려 후기 인흥사는 비슬산을 대표하는 사찰이었다. 조선 초까지도 이 일대의 곡식을 보관하기 위한 창고를 이 사찰을 빌려 지었을 정도였으나 임진왜란을 전후하여 폐사되어 더 이상 조선 후기의 기록에는 보이지 않게 됐다.  

일연 스님은 인흥사에서 10여 년 이상 머물면서 비슬산의 또 다른 절인 용천사(湧泉寺)를 중수하고 불일사(佛日社)로 이름을 바꾸는 등 비슬산과 그 주변의 불교를 현창하는 데 힘썼다. 비단 인흥사 주지로 있었던 시기뿐만 아니라 왕명에 의해 운문사 주지가 된 후에도 인흥사와 용천사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았는데, 이는 인흥사에서 『역대연표(歷代年表)』를 간행하고, 불일사 결사 시 썼던 「불일결사문(佛日結社文)」에 왕이 제액을 쓰고 압인하여 불일사에 보관하도록 한 일 등에서 알 수 있다. 용천사 역시 임진왜란 때 사세가 기울었지만, 조선 후기에 여러 차례 중건이 이루어지면서 현재도 법등이 이어지고 있다. 

용천사 3층 석탑

 

『역대연표』와 『삼국유사』

인흥사에서 간행한 『역대연표』는 일연 스님의 『삼국유사』 집필과 관련돼 주목된다. 『역대연표』는 중국과 주변 여러 나라의 역대 왕명과 연호를 정리한 것으로, 신라・고구려・백제・고려의 순서로 왕명과 재위 년 수, 연호 등이 기재돼 있다. 나아가 끝부분에 ‘至元十五仁興社開板(지원십오인흥사개판)’이라는 문구를 통해 『역대연표』가 지원 15년, 즉 충렬왕 4년인 1278년에 간행됐음이 확실하다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가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일찍이 『삼국유사』 「왕력」편과 비교되어 『역대연표』가 「왕력」편 집필 토대가 됐다고 여겨졌다. 

『삼국유사』 「왕력」편 역시 신라・고구려・백제의 순서로 왕명과 주요 사건이 도표로 정리돼 있는데, 여기에 가야와 후삼국이 포함된 형태다. 『삼국유사』가 사서(史書)로서 의미를 가지는 것이 바로 「왕력」편과 함께 고조선부터 후삼국까지 주요 사건이 왕대별로 정리된 「기이」편 때문이기도 하다. 특히 「왕력」편이 『삼국유사』의 가장 첫 부분이라는 점에서 일연 스님은 삼국의 역사를 통해 민족의 전통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자 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왕력」편이 이후의 편들과는 다른 체제를 보인다는 점에서 일연 스님이 작성한 것이 아니라는 견해가 있기도 하지만, 그렇다고 하더라도 일연 스님이 『삼국유사』를 집필하며 「왕력」을 수록했다는 점에서 「왕력」의 작성 내지 편제에 스님의 의도가 십분 반영됐을 것임은 부정할 수 없다.  

이렇게 본다면 『역대연표』의 집필 역시 일연 스님의 행적 속에서 파악할 수 있다. 앞서 「불일결사문」의 사례에서도 살폈듯이 일연 스님은 운문사 주지로 옮겨가면서도 비슬산에 대한 관심을 놓지 않았고, 스님의 명성이 높아질수록 왕실에서도 또한 그러하였다. 그러나 『역대연표』를 일연 스님이 집필했다는 직접적 기록이 없을 뿐만 아니라 피휘법(避諱法), 칭원법(稱元法) 등이 『삼국유사』와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는 점에서 두 문헌의 연관성에 대한 부정적 견해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일연 스님이 『역대연표』의 집필에 직접 관여했는가의 여부를 차치하더라도 인흥사에서 행해진 일련의 불서(佛書) 간행에 대해 주시하고 있었을 것임은 짐작할 수 있다. 인흥사에서는 『역대연표』 간행 3년 전에 『법화경(法華經)』 「보문품(普門品)」이 선린(禪麟)에 의해 필사됐고, 이후 『인천보감(人川寶鑑)』, 『대비심다라니경(大悲心陀羅尼經)』이 간행됐다. 이때 선린은 「보각국존비」에 일연 스님의 문도 중 대선사(大禪師)로서 ‘인흥사선린(仁興社禪麟)’으로 보이는 인물이다. 아울러 그가 『인천보감』을 간행하면서 일연 스님과의 인연을 기록해둔 것을 보면 인흥사의 불서 간행과 일연 스님의 관련성을 상정해볼 수 있다.

비슬산 자락에 있는 청도 용천사(湧泉寺). 일연 스님은 용천사를 중수하고 불일사로 이름을 바꾸고 「불일결사문(佛日結社文)」을 지었다. 의상 스님이 세운 화엄사찰의 하나로 추정하기도 한다.

 

비슬산에서 꿈꾼 『삼국유사』

『삼국유사』의 찬술 시기를 대체로 일연 스님의 만년으로 보고 있지만, 집필을 준비하는 기간은 특정할 수 없다. 다만 『삼국유사』 「가섭불연좌석(迦葉佛宴坐石)」조에는 ‘今至元十八年辛巳歳(금지원십팔년신사세)’라고 하여 지원 18년, 즉 충렬왕 7년인 1281년에 『삼국유사』를 채워갈 한 편 한 편을 집필하고 있었음이 확인된다. 일연 스님이 『삼국유사』를 집필하는 과정에 『역대연표』가 간행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가치를 지닌 『역대연표』, 『삼국유사』 등의 집필에 대한 내용은 「보각국존비」에는 보이지 않는다. 비문에는 일연 스님이 지은 것으로 『어록(語錄)』 2권, 『게송잡저(偈頌雜著)』 3권과 스님이 편수한 것으로 『중편조동오위(重編曺洞五位)』 2권, 『조파도(祖派圖)』 2권, 『대장수지록(大藏須知錄)』 3권, 『제승법수(諸乘法數)』 3권, 『조정사원(祖庭事菀)』 30권, 『선문염송사원(禪門拈頌事菀)』 30권 등 100여 권이라는 기록만 있을 뿐이다. 이는 『역대연표』 뿐만 아니라 『삼국유사』의 저자에 대한 착각을 낳았다. 조선시대에 편찬된 『동국여지승람』에 『삼국유사』를 누가 지었는지 모르겠다고 한 것은 「보각국존비」에 보이지 않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이는 비문 작성 시 『삼국유사』가 아직 간행되지 않았기 때문이거나 혹은 『삼국유사』가 일연 스님의 다른 저술과는 구분되는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특별히 거론되지 않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삼국유사』의 가치는 비문의 기록 유무가 아니라 내용 그 자체에 보이는 일연 스님이 바랐던 민족 전통에 대한 자부심을 통해 확인된다. 고조선에 대한 기록은 성리학이 팽배한 조선시대에 불서(佛書)로 치부되어 멸실될 수도 있었던 『삼국유사』를 지켰고, 이에 수많은 불교문화에 대한 기록 역시 전통문화로서 지금까지 남을 수 있었던 것이다. 일연 스님은 비슬산에서 『삼국유사』를 꿈꿨고, 오랜 전쟁으로 지친 백성들의 안정과 민족의 중흥 역시 꿈꿨다.  

 

사진. 유동영

 

신선혜
「신라 중고기 불교교단 연구」로 고려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가산불교문화연구원 상임연구원, 고려대, 동국대, 중앙대 등 시간강사를 거쳐 현재 호남대 교양학부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논문 「『삼국유사』 점교」(2008)를 시작으로, 「『삼국유사』 편목 구성의 의미」(2012), 「『삼국유사』 ‘진성여대왕 거타지’조 해석의 새로운 시각」(2019), 최근 「『삼국유사』 효선편의 내용과 특징」(2022) 등에 이르기까지 『삼국유사』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