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연이 꿈꾼 삼국유사 비슬산] 일연의 자취(2) 도성암과 관기봉
상태바
[일연이 꿈꾼 삼국유사 비슬산] 일연의 자취(2) 도성암과 관기봉
  • 정진원
  • 승인 2023.03.28 18: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성과 관기, 비슬산의 두 성인과 그 후예들
도성이 은거했던 도성암. 멀리 관기봉이 보인다. 

삼국유사』는 총 9개의 편목(篇目)이 5권으로 나뉘어 있다. 각 편의 제목은 「왕력(王歷)」, 「기이(紀異)」, 「흥법(興法)」, 「탑상(塔像)」, 「의해(義解)」, 「신주(神呪)」, 「감통(感通)」, 「피은(避隱)」, 「효선(孝善)」이다. 권1에 「왕력」과 「기이 1」, 권2에 「기이 2」, 권3에 「흥법」과 「탑상」, 권4에 「의해」, 권5에 「신주」, 「감통」, 「피은」, 「효선」이 수록됐다. 「왕력」과 「기이」는 역사를 시간순으로 정리한 서술 방식이며, 이후 일곱 편목은 불교와 관련된 각종 일화로 구성됐다. ‘포산의 두 성인’ 관기와 도성의 신령스러운 삶에 관한 설화를 담은 ‘포산이성(包山二聖)’은 권5 「피은」편에 실려 있다. (편집자 주) 

비슬산에 일연이 37년간 살았다고 한다. 22세가 되던 1227년(고려 고종 14) 승과 장원급제 후 비슬산 보당암의 주지로 44세 때인 1249년까지 22년간 비슬산에 주석했다. 그리고 1264년(원종 5) 15년 만에 비슬산으로 돌아와 인홍사, 용천사에서 15년을 지내 비슬산 자락에서만 37년을 지냈다는 것이다. 20대부터 40대까지 비상한 천재 스님이 청춘을 보낸 곳, 그리고 환갑을 바라보는 나이에 다시 돌아와 고희가 되도록 그는 비슬산에서 무엇을 했을까. 100여 권이 넘는 저작의 산실은 바로 이 비슬산이었을 것이다. 『삼국유사』 집필을 구상하고 자료를 수집한 것도 바로 이곳이었을 것이다. 『삼국유사』는 정독할수록 평생을 들인 역작임을 알 수 있다. 

그는 특히 비슬산에 두 성인을 비롯한 아홉 명의 성인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거기에 ‘일연’이라는 한 명의 성인을 더 보탤 수 있다. 그런데 『삼국유사』의 제목은 왜 ‘포산이성(包山二聖, 포산의 두 성인)’인가. 마음에 물음표부터 찍고 책의 이야기를 따라가 보자.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