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연이 꿈꾼 삼국유사 비슬산] 비슬산을 벗어나서
상태바
[일연이 꿈꾼 삼국유사 비슬산] 비슬산을 벗어나서
  • 조경철
  • 승인 2023.03.28 19: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연이 꿈꾼 나라
군위 인각사에 모셔진 일연 스님 영정. 사진 정승채

 

삼국유사

『삼국유사』의 가장 큰 특징은 고조선의 단군신화가 실려 있다는 것이다. 단군신화는 오래전부터 구전이나 기록을 통해서 전해져 왔지만 현재 알려진 가장 오래된 책이 『삼국유사』다. 맨 앞에 ‘고조선’ 이야기를 싣고 있는데, 우리 역사의 출발이 고조선임을 명확히 한 것이다. 단군신화를 통해 단군이 나라를 세우는 신성한 과정도 덧붙였다. 일연 스님은 단군이 고조선을 세운 연대가 자기가 살던 때로부터 3,500년 전이라고 했다. 중국이 성군으로 떠받드는 요임금과 같은 시대다. 중국과 견주어도 꿀릴 게 없다고 본 것이다. 

일연 스님은 왜 이처럼 고조선과 단군을 강조하고 자랑하고 싶었을까. 일연 스님이 살았던 시대와 관련이 깊다. 몽골이 수십 년에 걸쳐 고려로 침입하고 있었을 때다. 스님은 우리가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지만 이 나라는 아주 오래전 고조선부터 이어져 왔다는 민족성을 강조했다. 몽골에 대항하는 저항정신을 북돋고자 했을 것이다.

사실 일연 스님은 이보다 더 큰 그림을 그렸다. 시대가 변해가고 있었다. 중국이 송나라에서 원나라로 바뀌어 갔다. 한족의 송나라가 이민족인 원나라에 무너져가고 있었다. 고려가 떠받들던 송나라가 설마 망하리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 그런데 그런 일이 그 당시 벌어지고 있었다. 일연 스님은 우리 역사를 돌아봤다. 세상을 바라보는 절대적인 기준이 있는 것이 아니라 시대에 따라 상대적이라고 생각했다. 이제 당당히 우리 역사도 중국 역사와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다고 자각한 것이다. 그래서 단군이 세운 고조선의 건국을 중국 요임금과 같은 때라고 본 것이다. 『삼국유사』는 단순히 몽골에 저항하기 위해 쓰인 것이 아니다.

고려가 겪은 비슷한 일이 조선에도 일어났다. 한족의 명나라가 저물고 여진족의 청나라가 뜨고 있었다. 조선은 시대에 적응하지 못하고 자신을 명나라에 가뒀다. 병자호란을 겪고도 마찬가지였다. 이는 나중에 일본과 서구 열강들이 들이닥칠 때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근본 원인으로 작용했다.

일연 스님은 몽골 침략기도 겪었고 원나라 간섭기도 겪었다. 몽골이 쳐들어왔을 때 스님은 어떻게 대응했을까. 그때 나이가 31세였다. 일연 스님은 비슬산으로 들어갔다. ‘문수오자주’를 염하면서 몸을 숨기기 좋은 곳을 빌었다. 산에서 마음을 다해 선관을 닦으며 ‘심존선관(心存禪觀)’을 공부했다. 같은 시대를 살았던 김윤휴와 이승휴는 달랐다. 김윤후 스님은 용인 처인성에서 적장 살례탑을 살해했고 또 다른 단군신화를 실은 『제왕운기』의 저자 이승휴는 삼척 요전산성에서 몽골군과 직접 싸우기도 했다.

어쩌면 김윤휴, 이승휴와 다른 행보를 보인 일연 스님에게 실망한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승려가 갈 수 있는 길이 한 가지만 있는 것이 아니다. 또한 당시 고려는 불교국가였다. 당시 승려의 역할은 국가에서부터 한 개인에 이르기까지 스펙트럼이 다양했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