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연이 꿈꾼 삼국유사 비슬산] 일연의 자취(4) 운문사와 인각사
상태바
[일연이 꿈꾼 삼국유사 비슬산] 일연의 자취(4) 운문사와 인각사
  • 명계환
  • 승인 2023.03.28 19: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각사에 어머니를 모시고
인각사 인근 산봉우리 높은 곳에 있는 일연 스님의 어머니 묘. ‘능골’이라 부른다. 묘의 2시 방향으로 인각사가 있다. 당신 외에는 후손이 없었던 스님이 높은 산봉우리에 어머니 묘를 잡은 이유가 궁금하다.

보각국사 일연 스님은 『삼국유사』의 찬자(撰者)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일연 스님과 관련한 기록은 『고려사』 등에 일부 남아 있지만, 전체적인 일대기를 살펴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자료는 스님이 입적한 후 인각사에 세워진 「보각국사비」이다.   

비문 가운데 주목하려는 부분은 그가 말년에 인각사에 머문 시기(1283~1289)의 행적이다. 일연 스님은 1283년(충렬왕 9) 개성으로 올라가 3월에 국존(國尊)으로 책봉되고 ‘원경(圓鏡) 충조(冲照)’라는 호를 받았으나 노모 봉양을 위해 고향으로 돌아왔다. 1284년 인각사를 하산소(下山所, 국왕이 국사·왕사가 만년을 보내도록 지정해주는 사찰)로 정하고 2회에 걸쳐 구산문도회(九山門都會)를 열었다. 이와 아울러 1277년 청도 운문사에서 집필을 시작한 『삼국유사』의 편찬을 마친 것으로 보인다. 1289년 7월 인각사에서 왕에게 올리는 글을 남기고 입적했는데, 보각(普覺)이라는 시호는 이때 충렬왕에게서 내려진 것이다.

고려시대 왕사(王師)・국사(國師) 책봉의 목적은 국가와 불교의 상호 간 협조를 통한 국가 번영과 고려의 불교국가다운 면모를 보여주는 것이었다. 또 당시 유력한 불교 종파에서 선출했던 만큼 불교 세력을 인정해주는 의미도 있었다. 하지만 몽골 침략기와 원나라 간섭기라는 국가 위기와 혼란의 상황에서 정치는 문란해졌으며 왕사・국사의 본래의 직임보다는 국왕이나 특정 권력자와의 관계에서 역할이 결정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그러므로 정치권력과 결탁한 자만이 영향력을 가지고 승정을 장악하며 구체적 활동을 했다는 의견도 있다. 

일연 스님이 국존이라는 승직을 받아들인 자세한 이유는 남아 있지 않지만, 그렇다고 그가 정치적인 인물이었다고 말하기도 어렵다. 그렇다면 국존이라는 승직까지 경험했던 일연 스님에게 국존의 위치는 어떤 것이었을까? 그의 인간적인 면은 어디서 찾아야 할까? 필자는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의 비문에서 찾았다. 그것은 일연 스님의 ‘효심’과 ‘대승보살행’이다.

 

일연 스님의 효심

일연 스님의 호 목암(睦庵)은 스님이 스스로 지은 자호(自號)다. 일연 스님이 목암을 자호로 삼은 이유는 중국 목주(睦州) 진존숙(陳尊宿)의 풍(風)을 사모했기 때문이다. 황벽희운(黃檗希運)의 법을 이은 진존숙의 속성(俗性)은 진씨(陳氏)이고, 휘(諱)는 도명(道明)이다. 그는 목주 용흥사에 살면서 문풍(門風)을 떨쳤는데, 100여 명의 대중이 운집할 정도였다. 또 밤이면 왕골로 짚신을 삼아서 곡식으로 바꾸어 어머니에게 보내줘서 사람들이 그를 진포혜(陳蒲鞋)로 불렀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