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승군의 활약
임진왜란은 선조 25년(1592) 4월 왜군의 동래성(東萊城) 침략으로부터 시작됐다. 최초의 의승군인 공주 갑사의 영규(靈圭) 스님은 800명의 의승군을 거느리고 일본군과 접전을 벌였다. 이후 8백 의승군은 조헌(趙憲)의 7백 의병과 합세해 그해 8월 왜적에게 함락당한 청주성(淸州城)을 수복했다. 왜란 발발 이후 첫 승전이었다.
의승군의 본격적인 활동은 선조 25년부터였다. 피난길에 오른 선조가 의주(義州) 행재소(幸在所)에 머물 때 승병모집을 위해 묘향산(妙香山)에 있던 서산대사 청허휴정(淸虛休靜) 스님을 부른 이후부터 의승군은 전국적으로 확대됐다. 휴정 스님은 나라를 구할 것을 간곡히 부탁하는 왕에게 충성을 맹세했고, 왕은 그에게 8도16종도총섭(八道十六宗都摠攝) 직을 내려 전 승군을 관장하게 했다. 이후 휴정 스님은 전국 8도 사찰에 격문을 보내 궐기할 것을 호소하고 73세의 노령으로 승군 1,500명을 거느리고 순안 법흥사에 주둔했다. 이후 법흥사의 의승군 수는 5,000여 명에 이르렀다. 그 밖에 호남 지리산에서 처영(處英) 스님 또한 의승군을 모아 봉기했다.
휴정 스님은 선조에게 늙고 병들어 싸움에 나가지 못할 스님은 절을 지키게 하면서 나라를 구할 수 있도록 부처에게 기원하도록 하고, 나머지는 자신이 통솔해 전쟁터로 나아가 나라를 구하겠다고 했다. 늙고 어린 스님을 제외한 모든 스님이 유사시에는 승군이었다. 위로는 궁극의 깨달음을 얻고 아래로는 자신뿐만 아니라 부모와 시주, 그리고 국왕과 나라를 위해 산중에서 수행해야 하는 수행자의 본분이었지만, 나라와 백성이 곤란에 처했을 때는 스님들이 계율을 어기고 칼과 창을 들어야 했다. 당시 의승군은 중앙에 도총섭(팔도십육종도총섭)을 두고 그 아래로는 전국 8도에 각각 선·교 양종 2명씩 16명의 총섭을 둔 조직체계였다. 조정으로부터 임명돼 직첩을 받았던 도총섭과 총섭은 ‘군대를 이끌고 왜적을 토벌한 승려[領軍討賊之僧]’를 가리키는 명칭이다. 도총섭·총섭의 지휘를 받는 의승군은 도원수(都元帥)의 지휘하에 관군과 협력 또는 독자적으로 전투 임무를 수행하는 한편 군량 운송과 산성 축성 등 후방지원을 담당하며 준관군(準官軍)의 형태로 활동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