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역사: 사찰로 온 헤라클레스] 포토에세이
상태바
[금강역사: 사찰로 온 헤라클레스] 포토에세이
  • 유동영
  • 승인 2023.10.28 14: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법과 도량을 지키라
폐사지 석탑의 금강역사
토함산 동쪽 중턱에 자리한 장항리사지의 연화대좌와 동·서오층석탑

금강역사가 새겨진 남한 내 탑은 신라 9곳, 고려 2곳 등 대략 11곳에 이른다. 이 11곳 가운데 장항리사지 오층석탑·간월사지 삼층석탑·서악동 삼층석탑·안동 조탑리 오층전탑·안동 운흥동 오층전탑·광양 중흥산성 삼층석탑·예천 개심사지 오층석탑 등, 지금은 목탁소리가 끊긴 폐사지 6곳의 석탑을 포토에세이에 담았다. 광양 중흥산성 석탑은 현대에 문을 연 중흥사 경내에 있기는 하나 서로 관계가 없을 뿐더러 탑의 본래 위치도 지금과는 다른 곳이었기 때문에 폐사지 탑으로 보았다. 고려 2곳 가운데 석탑이 아닌 승탑에 새겨진 법흥사 승탑은 뺐다. 사진 순서는 학계에서 다수가 인정하는 조성 시기에 따랐으나, 중흥산성 삼층석탑과 안동 모전탑들의 순서가 바뀐 것은 편집·디자인을 고려한 것이다.

 

장항리사지 동・ 서오층석탑          

아직 절 이름이 밝혀지지 않아 절터가 위치한 동네 이름을 따서 장항리사지라 부른다. 발굴 결과에 따르면 금당과 탑의 배치가 특이하다. 당시에도 지금처럼 마당이 좁아서였는지 탑과 금당을 거의 수평으로 배치했고, 거리 또한 대부분 20m를 유지하는 데 반해 25m에 이른다. 현재의 지형이라면 동탑은 계곡 아래에 놓여 있는 게 맞다. 2022년 태풍으로 동쪽 계곡은 큰 바위들이 드러날 만큼 더욱 깊게 파여 있다. U 자 형태의 계곡에 둘러싸인 사지를 보며 폐사의 원인이 자연재해 때문은 아니었을까 생각했다.

장항리사지 탑은 분황사 모전탑 이후, 금강역사가 부조된 탑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인 8세기 초·중반으로 본다. 탑의 결구 방식과 금강역사 부조 기법이 그 근거다. 서탑 금강역사의 역동성과 상투·천의(天衣) 등이 석굴암의 금강역사나 사천왕과 닮았다. 동·서탑의 재질과 부조 양식이 차이를 보이는 것은 조성 시기 때문이 아니라 부조한 장인이 서로 달라서 생긴 차이라고 본다. 발굴 시 탑과 좌대 외에 하반신이 사라진 석불입상이 수습됐다. 석불입상은 보존 처리를 거친 뒤 국립경주박물관 마당에 모셨다. 

 

간월사지 삼층석탑          

간월사지는 자장율사가 통도사보다도 먼저 창건했다고 전한다. 임진왜란 때 불에 탔으나 이후 복원돼 적어도 19세기 중반까지 법석이 열렸다. 폐사 이후에는 민가가 들어서고 밭으로 개간되는 과정에서 전면 석축이 사라지고 탑 부재들이 상처를 입었다. 다행히 쌍탑과 울산의 유일한 보물 불상으로 불리는 석조여래좌상이 남았다. 간월사지와 장항리사지의 역사가 서로 비슷한 듯 차이를 보인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