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B급 스님들] 종이 만드는 스님들
상태바
[조선의 B급 스님들] 종이 만드는 스님들
  • 오경후
  • 승인 2023.08.23 12: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동법으로 가중된 스님들의 고된 승역僧役
남해 화방사(花芳寺). 남해 망운산 자락에 있으며, 통일신라시대 창건됐다고 전해진다. 임진왜란 시 왜병에 의해 불탔으며 후에 중창됐다. 화방사는 이순신 장군의 위패를 봉안한 충렬사(忠烈祠)를 수호하는 사찰이었다.

제지(製紙), 사찰의 종이 생산

임진왜란이 끝난 후인 광해군 즉위년(1608), 대동법(大同法)이 경기도에서 처음 실시됐다. 당시 백성은 군역(軍役)의 문란, 하급 관리나 상인들이 공물(貢物)을 나라에 대신 바치고 대가로 백성들에게서 더 많은 것을 받아내던 방납(防納)의 폐단으로 피폐한 삶을 살고 있었다. 

대동법 시행으로 그동안 현물과 노역으로 부담했던 의무를 쌀(대동미大同米)로만 대신할 수 있었다. 백성들은 다른 부역을 부담하지 않아도 됐고, 국가의 토목공사나 공물 납부 시에는 그 대가를 받을 수 있었다. 양란 직후 실시된 대동법의 운영은 여러 논란과 한계가 드러났지만, 백성들이 대동법의 실시를 청원할 정도로 성공적이었다. 

그러나 예외는 있었다. 왕릉을 조성하거나 사신(使臣) 접대, 종이 생산과 납부 같은 불시에 발생하는 부역으로 그 수요를 예측할 수 없는 경우 부득이하게 백성이 동원됐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