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B급 스님들] 사고를 지키는 스님들
상태바
[조선의 B급 스님들] 사고를 지키는 스님들
  • 장희흥
  • 승인 2023.08.23 13: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왕조실록을 지켜라!
강화 정족산사고(鼎足山史庫). 전등사 내에 있다. 강화에는 마니산사고(摩尼山史庫)가 있었다. 조선 후기에 화재가 발생해 『왕조실록』이 소실됐기에 옮겨졌다. 정족산사고본 『조선왕조실록』은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돼 있다.

사고(史庫), 역사를 보관하다

조선시대 기록문화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조선왕조실록』이 199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됐다. 실록으로 대표되는 왕조의 통치 기록, 고려·조선시대의 역사 기록, 국가적으로 중요한 서적과 문서는 이를 보관하던 창고인 사고(史庫, 사각史閣, 실록고實錄庫, 지고地庫)에 보관돼 엄격하게 관리됐다. 사고에는 『조선왕조실록』과 『선원록』과 같은 조선 왕실의 계보, 중요한 역사서, 경학서 등이 함께 보관됐다. 이처럼 사고는 서적보관소로서 의미가 깊은 곳이었다. 

조선은 “역사는 천하의 시비를 공정하게 하여 만세의 권계(勸戒, 훈계)를 남기는 것”이라는 목적으로 초기부터 실록을 편찬했다. 이를 효율적으로 보존하기 위해서 한 곳에만 보관하지 않고 나누어 관리하는 사적분장지책(史籍分贓之策), 즉 사마천이 이야기한 “(정본은) 명산에 간직하고 부본(副本)은 서울에 둔다”라는 형식으로 관리했다. 결과적으로 전란의 참변에서 실록을 지켜낼 수 있었다. 

고려 전기에는 실록을 편찬해 개경의 사관(史館), 즉 춘추관에만 사고를 설치했다. 하지만 고려 현종 때 거란의 2차 침입으로 모두 소실됐다. 이후 태조~목종까지의 7대 실록을 다시 편찬했고, 이마저 1126년(인종 4) 이자겸의 난으로 궁궐이 불탈 때 위험에 처해졌으나 숙직 중이던 김수자(金守雌)의 노력으로 보존됐다. 1227년(고종 14) 처음으로 해인사에 외사고(外史庫, 서울 밖의 사고)를 설치했다. 고려 공양왕 대에는 외사고가 충주 개천사(開天寺)에 있었다. 

조선 개국 당시 내사고(內史庫, 서울 안에 설치한 사고)는 춘추관, 외사고는 충주에 있었다. 1445년(세종 27) 경상도 성주와 전라도 전주에 외사고를 추가, 4대 사고(四大史庫) 체제를 갖췄다. 외사고를 성주에 설치한 까닭은 해인사와 가깝다는 것, 전주는 이성계의 선조가 살았던 발상지이자 왕의 초상인 어진(御眞)이 봉안된 곳이라는 이유였다. 

사고의 관리는 엄격하여 1538년(중종 33) 성주사고에서 화재가 발생하자, 성주목사 등 담당 관리들에게 책임을 물어 파면시켰다. 불타버린 성주사고는 재건됐다. 조선 전기에는 성주사고 화재 외 큰 사건 없이 원만하게 관리됐다. 사고 관리는 춘추관에서, 대한제국 시기인 1898년(광무 2)부터 의정부가 10여 년 정도 주관했다. 한일합병 이후에는 일제가 관리했다. 사고의 문을 여는 일은 엄히 실시됐다. 실록을 새로운 사고에 봉안하거나 정기적으로 포쇄(曝曬, 책을 말리는 것)할 때, 실록을 옮겨 봉안할 때, 전례(前例)를 참고할 때 등 외에는 열지 않는 것이 원칙이었다. 외사고는 원칙적으로 전임 사관(史官)인 한림(翰林) 8원 중 한 사람이 배석해야만 열 수 있었다. 부득이한 경우는 겸임 사관이 파견됐다. 이 원칙은 조선시대 전 기간에 걸쳐 지켜졌다. 

실록의 포쇄를 지방 도사나 수령이 사관을 겸임하는 외사(外史)가 하도록 하자는 의견이 있었으나 허용되지 않았다. 예외적 경우도 있었다. 임진왜란 시 전주사고의 외사 이순민(李舜民) 등이 실록을 내장산으로 급히 옮겼고, 이로써 사고를 지키게 됐다. 

조선 전기 사고의 관리에 대한 사목 등이 전해지지 않아 어떻게 사고를 관리했는지 파악하기는 쉽지 않다. 다만 충주사고의 경우, 수호관 5원, 별색호장(別色戶長)・기관(記官)・고직(庫直) 각 1원 등이 있었다고 한다. 임무는 주로 화재나 누수, 그리고 외적의 침입에 대비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규정은 제대로 지켜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임진왜란 당시 춘추관·성주·충주사고가 일본군에 의해 방화된 것은 전란의 급박성도 주요한 원인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네 곳에 사고를 설치해 수호관 배치를 소홀히 하는 등 방심했던 것도 그 이유 중 하나로 보인다.

 

사찰에 사고를 세우다 

조선 전기에는 성주사고 외에는 큰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임진왜란이 일어나면서 사고 관리에 커다란 전환점을 맞게 된다. 공교롭게도 전주사고를 제외한 세 곳이 일본군의 북상로(北上路)에 있었다. 임진왜란 이전에 양성지(梁誠之, 1415~1482)는 외사고가 교통 행정상의 중심지인 도회지에 위치해 “화재와 외적의 침입이 우려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결과적으로 전란 중 춘추관·충주·성주 세 곳의 사고가 불타버렸다. 담당 관리와 민간인의 발 빠른 대처로 전주사고만이 미리 내장산의 깊숙한 암자로 옮겨 보존될 수 있었다. 

이러한 경험은 새로운 사고 지정에 참작됐다. 조선은 임진왜란 이후 막대한 비용과 인력을 동원해 실록을 복인(復印)했다. 조선왕조는 사고를 인적이 드문 깊은 산속에 설치하는 방안을 모색했다. 새로 선정된 외사고는 마니산, 묘향산, 태백산, 오대산 등 4곳이었다. 내사고인 춘추관을 포함하여 5개 사고체제로 확대했다. 

이곳들은 조선 전기 4대 사고와 인연이 있던 지역이었다. 묘향산은 임진왜란 중에 실록을 잠시 보관했고, 강화도 마니산 역시 고려시대와 임진왜란 때 실록을 보관한 지역이었다. 태백산은 해인사와 성주사고의 맥을, 오대산사고도 충주사고의 맥을 잇는 지역이었다. 

강화도 마니산사고는 병자호란과 1653년(효종 4)의 화재로 1660년(현종 1) 정족산에 새로 사고를 마련했다. 이곳은 산성으로 둘러싸여 있는 데다가 전등사가 있어 사고를 지키기 좋은 여건이었다. 묘향산사고는 후금(後金, 후의 청나라)이 위협하자 1618년(광해군 10) 적상산(赤裳山)에 사고를 건립했고, 1633년(인조 11) 모두 옮겼다. 

결국 춘추관사고본은 ‘이괄의 난’과 순조 대 화재로 실록의 잔본만 남았다. 오대산사고본은 일제강점기 일본으로 강제로 유출된 뒤 관동대지진 때 소실돼 일부만 남아 있다. 정족산사고본은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태백산사고본은 국가기록원 부산지소에, 적상산사고본은 북한의 평양에 보존돼 있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