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줏돈 은혜는 법문과 성불로 갚게 한 일타 스님
상태바
시줏돈 은혜는 법문과 성불로 갚게 한 일타 스님
  • 효신 스님
  • 승인 2023.08.31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근현대 스님들의 수행과 사상]

인과법과 인연법

세상살이는 서로에게 도움을 주고받는 관계다. 더불어 사는 삶이기에 나는 누군가의 의지처가 되고, 누군가는 나의 의지처가 되어 준다. 특히 경제생활과 거리가 먼 수행자는 신도들의 물질적 시은(施恩, 시주의 은혜)을 입으며 살아갈 수밖에 없다. 시줏돈은 공동의 선을 위해 청정하게 사용하므로 정재(淨財, 깨끗한 재물)로 불러 사회의 그것과 다른 가치를 둔다. 그 대신에 스님들은 시주의 무게를 경계했다. 오죽했으면 쌀 한 톨의 무게가 7근이라고 했겠는가. 

하지만 자본이 일상의 근간을 담당하는 현대사회의 특성상 시주(돈)를 둘러싼 재가자와 스님들의 갈등은 깊어지고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다. 요즘 돈 한 푼 버는 일은 개인의 피고름을 짜내는 일이라 남의 돈으로 생활하는 수행자들의 삶이 일반인들에게는 거슬릴 수밖에 없다. 이런 시선의 갈등과 오해를 적극적으로 푼 분이 바로 동곡 일타(東谷日陀, 1928~1999) 스님이다.

온 우주 법계가 연결돼 있듯이 중생을 떠난 부처가 있을 수 없고, 중생을 떠난 스님들은 존재할 수 없다. 이러한 상호의존적 관계의 순기능은 각자의 역할을 성실히 할 때 이루어진다. 그래서 일타 스님은 “중생은 돈을 벌고, 스님네는 도를 벌면 된다”고 했다.

스님네가 번 도(道)로 중생이 번 돈을 되갚으면 된다는 것이다. 바로 ‘아래로는 법문[下化衆生]’을 하고 ‘위로는 성불[上求菩提]’하려는 수행자의 기본 행이다. 일타 스님은 기본을 벗어나거나 기초를 다지지 못한 일은 허깨비로 보았기 때문에 법문에서도 일상의 기본이 되는 ‘인과법(因果法, 원인에 따른 결과의 법)’과 ‘인연법(因緣法, 직간접으로 조건 지어지는 법)’을 강조했다.

인과법문은 일반인들에게 도덕적 교훈으로 양심에 따라 행하도록 이끌었다. 인연법문은 더불어 살아가는 옆 사람의 소중함을 강조해 내 마음밭[心田]에 좋은 종자를 심도록 노력하게 만들었다. 

“우리는 업으로 이어진 중생이라, 업에 따라 좋은 인연도 만나게 되고 나쁜 인연도 만나게 된다. 그러나 수많은 인연 중에는 절대적인 행복도 절대적인 불행도 없다. 단지, 나 혼자만의 힘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다른 것과 서로 의지하여 일어나므로 난다. 인연따라 묵묵히 복업을 지어 보라. 그것은 마침내 깨친 마음의 복[悟心之福]으로 대해탈의 열매를 거두게 한다.”

스님의 이런 법문은 결국 재가자들에게 윤회의 자각과 일상의 기도로 이어지게 했다. 인과와 인연법을 잘 헤아려 나쁜 일을 행하지 말고 좋은 업을 많이 쌓는 게 스님 법문의 요체다.

기도 성취와 삼매의 비결은 ‘간절 절(切)’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