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현대 스님] ‘가지산 호랑이’ 인홍仁弘
상태바
[근현대 스님] ‘가지산 호랑이’ 인홍仁弘
  • 효신 스님
  • 승인 2022.11.21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좌복 위에서 죽기를 꿈꾼 수행자, ‘가지산 호랑이’ 인홍仁弘
‘가지산의 호랑이’ 원허당 인홍 스님. 현공 스님 제공

중노릇 제대로 하는 비구니가 되려면 가지산 석남사로 가라는 말이 있었다. 석남사는 인홍 스님과 동격처럼 여겨진다. 제대로 중노릇 하기 위해서는 인홍(1908~1997) 스님 밑에서 배워야 한다는 뜻이다. 한 중생제도를 위해 백천 생을 따라다니는 불보살의 은덕에 보답하기 위해서라도 이생에서 출가자답게 살라고 호통치는, 엄하기로 유명한 스님이었다. ‘수행자는 신심이 있어야 한다, 부지런해야 한다, 인내해야 한다, 노력해야 한다, 일체중생의 사표가 되어야 한다’며 1초라도 헛된 시간을 보내지 못하게 제자들을 채찍질한 스님이다. 대장로니(大長老尼) 원허당(園虛堂) 인홍 선사라는 호칭보다 ‘가지산의 호랑이’로 더 잘 알려져 있다. 

 

대장부 같은 마음 씀씀이

인홍 스님이 대중을 이끌고 태백산에서 석남사로 내려온 것은 1957년, 초여름으로 접어드는 5월이었다. 여기에는 범어사에서 강사를 지낸 비구 스님이 머물고 있었는데, 절 살림이 너무 어려워 이 절을 맡을 만한 사람이 오기를 기다리고 있었다. 막상 짐을 풀고 보니, 대웅전의 지붕 기와는 듬성듬성해서 법당엔 비가 새고, 산바람과 골바람이 강해 한 번 바람이 불면 도량에는 솥뚜껑이 날아갈 지경이었다. 

인홍 스님은 오는 날부터 허리에 밧줄을 메고, 대웅전 지붕 위로 올라가 기와를 이었다. 도량에는 우물도 없었다. 처음엔 대웅전 앞에 놓여 있던 말구유에 물을 퍼 놓고 밥을 지었다. 그렇게 지붕 기와 하나하나, 우물 등 모든 것을 상좌들과 함께 정비하며 도량불사를 마쳤다. 상좌 중 특히 묘경·법희·법용 스님 등은 정말 일을 많이 했다. 눈 뜨면 지붕에 올라가는 게 일상이었다. 남의 손을 빌리지 않고 대중들이 직접 도량을 일구었으니, 그 애정이야 표현할 길이 있겠는가. 그러니 생전 마지막 당부를 청하는 상좌들에게 “대중이 화합해서 석남사를 잘 지켜라”라는 말을 남겼다. 상좌 법희·법용·도문 스님은 스승의 유지를 받들어 평생 석남사를 지켰고, 진관 스님은 서울 진관사에서, 불필 스님은 해인사 금강굴에서, 백졸 스님은 부산 옥천사에서 스승의 가풍을 계승했다. 

당대 스님들은 인홍 스님을 장부요, 마음 씀은 더 대장부라 칭했다. 석남사 법문을 거의 도맡아온 통도사 지안 스님의 회고는 인홍 스님의 성품을 총체적으로 설명해준다.

“인자하고 자비상이 넘치는 모습과 함께 아주 장부의 기질을 가지고 있는 스님으로 각인되어 있는 분이다. 정진력이 뛰어났고 소박하고 예를 잘 알아 사람대접을 여법하게 하셨다. 또 스님만큼 사심이 없고 삼보정재를 아꼈던 분도 드물 것이다. 살아 있는 정신으로 불법을 외호했던 수행자다.” 

(『길 찾아 길 떠나다』, p.248) 

인홍 스님의 인자하고 자비상이 넘치는 모습과 동시에 장부 기질을 보여주는 단편의 사건이 있다. 한국전쟁 중인 1951년 초여름, 태백산 백련암에서 정진할 때였다. 한밤중에 젊은 인민군이 군홧발로 방문을 박차고 들어와 좌선 중인 스님에게 총부리를 겨누고는 소리쳤다. “밥 내놓우라.” 어이없던 스님은 “야, 이놈아! 밥 달라는 놈이 어~디 총을 들고 밥 내놓으라 하냐, 이런 나쁜 놈 같으니!”라며 더 호통을 쳤다. 이 말에 마음이 동한 인민군이 무릎을 꿇으며, 눈물 흘리며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잘못했습니다, 배가 너무 고파서요. 스님, 밥 좀 주이소.”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