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음] 관세음보살의 미묘한 모습-관음의 여신화
상태바
[관음] 관세음보살의 미묘한 모습-관음의 여신화
  • 조현설
  • 승인 2021.09.30 14: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세음보살, 남성인가? 여성인가?

◎일러두기 : 이 글은 『동아시아고대학』7(동아시아고대학회, 2003)에 게재된 논문 「동아시아 관음보살의 여신적 성격에 관한 시론」을 본 잡지의 편집 방향에 맞춰 필자가 수정·보완했습니다. 

 

『삼국유사』 속 관음의 현신

『삼국유사』 「탑상(塔像)」 편 <삼소관음중생사(三所觀音衆生寺)> 조에 흥미로운 관세음보살 이야기 두 편이 실려 있다. 첫 번째는 늙도록 자식이 없었던 최은함이 중생사 관음보살한테 빌어 아들을 얻었다는 이야기다. 두 번째는 견훤의 경주 침략으로 급히 피하다가 관음보살의 가호를 간절히 빌며 아이를 발치에 두고 갔는데 보름 만에 돌아와 보니 살결은 새로 목욕한 듯하고 입에는 젖 냄새가 남아 있었다는 이야기다. 관음보살이 점지하고 품어 준 아이가 시무 28조로 고려 초기의 정치개혁을 추동한 최승로(崔承老, 927~989)다.

최승로의 일화에 출현한 관음보살은 삼신할미의 이미지를 지니고 있다. 민간의 오랜 전승 속에서 삼신할미는 아이를 점지해 주고, 태어난 아이의 건강과 수명을 지켜주는 여신이다. 신라말 중생사 관음보살은 삼신할미와 같은 모성을 드러내는 여신으로 형상화됐다. 

『삼국유사』에서 관음보살은 매력적인 여인의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감통(感通)」편에는 광덕과 엄장, 불도를 닦는 도반이 등장한다. 둘 가운데 광덕이 먼저 득도한 뒤 서방정토로 떠난다. 엄장은 광덕이 남긴 시신을 묻어주고, 그의 부인한테 동거를 제안한다. 엄장이 정을 통하려 하자 부인은 광덕의 수행을 이야기해준다. 함께 산 십여 년 동안 한 번도 동침하지 않고 밤마다 단정히 앉아 아미타불을 염했다고. 엄장을 깨우쳐 관법(觀法)을 닦아 서방정토로 이끈 여인은 다름 아닌 관음보살의 십구응신(十九應身, 중생을 교화하기 위한 관음보살의 19종 모습) 가운데 하나였다고 전한다. 

관음보살의 감응을 이야기하고 있는 『삼국유사』의 기사들은 한결같이 관음을 여성으로 형상화한다. 그렇다면 관음보살은 여신(女神)인가? 그렇지는 않다. 관음보살의 원형은 남신(男神)이다. 불교 이전의 브라만교에도 관세음은 있었다. 리그베다(Rigveda)에 나오는, 맹인의 눈을 뜨게 하고 아픈 사람을 고쳐주고 아이를 점지해 주는 신, 심지어 고목에서 꽃이 피게 하고 수소의 젖을 흐르게 하는 쌍둥이 형제신, 때로는 머리에 밝은 별이 달린 쌍둥이 망아지의 형상으로 나타나는 남신이 관세음의 원형이다. 이 쌍둥이 신이 불교 이후 마두관세음보살(馬頭觀世音菩薩)의 모습으로 불교화된다.

그렇다면 관세음은 남신인가? 적어도 인도에서는 남신이었고, 불교 초전기에도 다르지 않았다. 보살계는 남성만의 깨달음의 세계이고 팔리어나 산스크리트어의 어원(Avalokit ́eshvara)에서 관음은 모두 남성이다. 5세기 인도에서 온 담무참(Dharmakṣema, 曇無讖) 스님이 번역한 『비화경(悲華經)』에 나타나 있는 관세음의 형상*도 남성이다. 대자대비의 상징인 관세음보살은 『삼국유사』의 관음처럼 여성화될 가능성을 품고 있었지만 불교 초기에는 여성화되지 않았다. 관음은 언제, 왜 여신이 됐을까?

(*전륜왕(轉輪王) 무정념(無淨念)에게는 아들 천 명이 있었는데 태자의 이름은 불구(不眗), 즉 관세음보살이고, 둘째 왕자의 이름은 니마(尼摩), 즉 대세지보살이고, 셋째 왕자의 이름은 왕상(王象), 즉 문수보살이고, 여덟째 왕자의 이름은 민도(泯圖), 즉 보현보살이다. 국왕 무정념은 후에 서방 안락세계의 무량수불, 즉 서방극락세계의 아미타불이 되고, 관세음과 대세지 형제는 그의 협시보살이 됐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