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화와 역사가 깃들다

보리암은 전설이 많은 곳이다. 중국 진시황제의 아들 부소(扶蘇)가 왔다 해 부소암이 있으니 2,000년이 넘은 이야기다. 또, 원효 스님이 낙산사를 거닐다 만난 두 여인이 관음보살의 현신인지 미처 알지 못하다가 보리암에서 친견했다. 원효 스님이 절을 짓고 보광사라 이름했고, 뒷산은 보광산이 됐다. 1,500년 전의 이야기다. 태조 이성계가 100일 기도를 해 조선을 개국했다. 은혜에 보답하고자 이름을 남겼으니 산 이름이 비로소 금산(錦山)으로 불리게 됐다. 이 역시 600년이 넘었다.
관음포
보리암이 위치한 남해는 역사가 있는 곳이다. 충무공 이순신이 “나의 죽음을 적에게 알리지 말라”며 산화(散華)한 노량해전이 남해 바닷가에서 벌어진 전투이니, 충무공의 피와 뼈가 묻힌 곳이다.
고려 시대 몽골이 한반도를 휩쓸고 있을 때, 남해에서는 팔만대장경이 판각되고 있었다. 고려를 지키고자 했던 스님들과 민초들의 염원이 있는 곳이다. 고려말에는 정지 장군이 남해에서 고려에 침입한 왜구를 크게 무찌르니 고려말 왜구를 무찌른 대첩 중의 하나로 꼽힌다.
월간불광 특집 기사 전문은
유료회원에게만 제공됩니다.
회원가입후 구독신청을 해주세요.
불광미디어 로그인저작권자 © 불광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