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음] 일심으로 관세음보살을 염하면
상태바
[관음] 일심으로 관세음보살을 염하면
  • 이기운
  • 승인 2021.09.30 13: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력 수행 통해 만나는 관세음보살의 가피
의겸 등 필 수월관음도(보물 제1204호).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불교에서 관세음보살은 일반 대중들이 가장 친숙하게 부르는 명호이다. 우리가 사는 사바세계는 중생들의 욕망 때문에 정보(正報, 과거의 업에 따라 얻은 몸)가 이루어지고, 중생들이 살아가면서 국토세간을 건립해 의보(依報, 살아가고 있는 환경)가 이루어지므로, 세간은 한순간도 사건·사고가 없는 날이 없다. 중생들이 짓는 행위로 인해 행복과 불행이 동전의 양면처럼 번갈아 일어나서 절절한 기구와 탄식이 그치지 않는다.

이런 사바세계에서 가장 많이 부르는 명호가 아마도 “관세음보살”일 것이다. 불교가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에 전해지는 동안 가장 친근하게 다가온 것이 관음보살이고, 그래서인지 가장 많은 신행체험으로 남아있는 것 또한 관음 영험이다. 백제 발정 스님이 월주(越州) 지역의 관음도실(觀音堵室)을 찾아가 관음을 친견했다는 일화부터 고대소설 『심청전』의 모델로 알려진 관음사 연기설화까지, 많은 신행체험에서 관세음보살은 수행자의 득도를 도와주는 조력자이자 중생의 원과 고통을 풀어주는 사도(使徒)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

 

경전 속 다양한 관음신앙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