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잘 알고 지내던 이진경 작가에게서 토종 씨앗으로 전시를 만들어 보자는 제안을 받았다. 토종 씨앗이요? 씨앗은 물론 농사의 농자도 모르는 필자는 대번 거절했다. “아니요, 선생님. 저는 그런 것 관심 없어요. 못하겠어요. 게다가 ‘토종’이라니요. 씨앗에 토종이 어딨어요. 이상해요.” 원하는 것은 꼭 하고 마는 성미의 이진경 작가는 필자를 앉혀 놓고 내리 한 시간을 토종 씨앗에 관해 설명했다. 씨앗이 왜 “시작이고 열매이며 태도”인지, 토종 씨앗 (운동)이 지켜내고자 하는 가치가 무엇인지, 이것이 왜 지금, 이 시점에 그리도 중요한지에 대하여.
만약 세상이 변해야 한다면,
그것은
우리 모두가 알고
우리 모두가 누리고
우리 모두가 나누는 것이어야 한다.
마치 달처럼.
__ 이진경 작가 노트 중
먹고 살자고 하는 일
토종 씨앗의 ‘토종’은 사전적으로는 ‘본디부터 그곳에서 나는 종자’로 풀이되지만, 토종 씨앗은 처음에 없었더라도 여러 해 동안 재배되면서 그 지방의 풍토에 알맞게 된 종자를 뜻한다. 고려 말 문익점이 원나라에서 가지고 왔다는 목화가 그 예이다. 여러 차례 재배에 실패하다 나중에야 씨앗 하나가 꽃을 피워 100여 개의 씨앗을 얻게 되었고, 그것을 다시 재배하고 또 재배하며 씨앗을 늘려나가는 과정에서 목화는 이 땅에 ‘토착화’ 되었다. 즉, 토종 씨앗은 예부터 이곳에서 자라난 씨앗이거나 어느 시점부터 이 땅의 기후와 토양에 적응해 자라난 씨앗이다. 농경사회에서 씨앗은 곧 생명이었다. 집마다 부엌에는 작은 씨앗 단지가 있었다. 한 해 농사가 끝나면 내년 봄에 또 다른 싹을 틔우기 위해 겨우내 잘 보관해 놓는 보물단지였다. 생명이었던 씨앗이 거래 가능한 상품이 된 것은 일제강점기 토지조사사업으로 근대적 토지 소유 관계가 확립되고, 산미증식계획으로 한반도가 쌀 생산 기지화된 이후부터였다. ‘종자권(종자에 대한 권리)’이 생겨났고, 종자권에 따라 거래되지 않은 씨앗이 봄에 스스로 열매 맺을 수 없도록 유전자를 조작한 유전자변형농산물(GMO)이 세계의 농촌을 지배하기 시작했다. 먹고 살자고 하는 일이 돈을 벌자고 하는 일이 되어버린 지금의 자본주의 사회에서 생명의 가치는 씨앗과 함께 사라져간 것이다. 이쯤 이야기를 나누니 눈이 번쩍 뜨이기 시작했다. 씨앗은 이제 남 이야기가 아니었다.
목숨이 중하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시작한 토종 씨앗 운동이 뜻 있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한반도 곳곳에서 벌어져 왔다. 그중 한 사람이 이영동 농부이다. 이진경 작가와 함께 전라남도 장흥에 있는 이영동 농부의 씨앗 창고에 방문했다. 슬레이트 패널로 지어진 창고와 아담한 논밭으로 이루어진 작은 농가에서 새까맣게 그을린 얼굴을 한 아주 작은 체구의 농사꾼이 환하게 웃으며 맞이해 주었다.
어머니를 여읜 후 어머니와 함께 쪄 먹던 감자 맛이 그리웠던 그는 아무리 감자를 쪄 보아도 그 맛이 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고, 감자 종자를 얻기 위해 남도 곳곳을 돌아다니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렇게 일궈낸 씨앗 창고에서 지역 농사꾼들은 씨앗을 함께 보존하고 서로 나눈다. 씨앗을 얻어간 농부들은 한 해 정성껏 농사짓고 일부 씨앗을 다시 창고로 환원한다. “씨앗은 절대 돈 받고 팔지 않는다”가 철칙인 그. 돈이 다인 시대에 돈으로도 바꿀 수 없는 생명의 가치를 지켜나가는 한 가난한 농부의 고집스러운 철학은 농업의 근대화를 정면에서 반격하며 동네의 작지만 아름다운 삶의 축이 되어 있었다.
우리도 토종 씨앗처럼
화가이자 쌈지의 아트디렉터로 널리 알려진 이진경 작가의 그림에서 필자는 저마다의 세계에서 살아가는 무수한 삶들에 깊은 애정을 느끼곤 한다. 그가 숨 쉬듯 슥슥 그려내는 그림과 글씨들이 묵직한 감동으로 다가오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일상에서 배우고 느낀 것이 체화되고 난 후 종이 위에 냄새처럼 스며든다. 종이를 좌지우지하는 대단한 주체로서의 작가상은 그에게 어울리지 않는다. 이렇게 하자, 저렇게 해야 한다는 식의 선동이나 주장도 마찬가지다. 종이에 물든 향이 그저 나긋하게 속삭일 뿐이다. 어제가 아닌 오늘을 살자고, 살아 있음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토종 씨앗이 그러하듯 우리도 자본의 논리가 아닌 생명의 논리로 이 땅에 뿌리를 깊게 한번 내려보자고, 그리하여 매 순간 싱싱하게 살아 보자고.
사진. 이진경 작가 제공
이달의 볼 만한 전시
DNA: 한국미술 어제와 오늘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 서울
2021.07.08~2021.10.10 | 02)2022-0600
www.mmca.go.kr
한국의 문화재와 근현대 미술을 한자리에서 감상하고 비교하며 한국의 미를 새롭게 바라보는 전시. 근대 미학자인 고유섭, 최순우, 김용준 등의 한국 미론을 통해 한국 대표 문화재 10개의 테마를 선정하고 그렇게 만들어진 전통이 한국 근현대 미술에 미친 영향과 의미는 무엇인지 바라볼 기회.
피오나 배너 개인전: 프라나야마 타이푼
바라캇 컨템포러리 | 서울
2021.06.16~2021.08.15 | 02)730-1948
www.barakatcontemporary.com
영국의 주목받는 작가 피오나 배너의 아시아 첫 개인전. 예측 불가하고 파괴적인 자연의 힘과 인간의 호흡 사이의 충돌을 암시하는 전시 제목 ‘프라나야마 타이푼’은 고대 인도에서부터 전해 내려오는 호흡법인 ‘프라나야마’와 대재앙 현상이자 전투기의 이름이기도 한 ‘타이푼(태풍)’의 합성으로 만들어졌다.
길은 너무나 길고 종이는 조그맣기 때문에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 서울
2021.06.29~2021.08.22 | 02)2124-5201
sema.seoul.go.kr
제도권 교육이나 사회적 개입 없이 오직 자신의 내면에 몰두하여 자신만의 독창적인 창작활동을 지속해온 발달장애 창작자 16인, 정신장애 창작자 6인의 예술세계를 만나볼 수 있는 전시. 이들의 활동을 ‘장애 예술’이라 규정짓기 전에 이 작가들이 무엇을 발언하고 있는지 충분히 보고 들어볼 것을 제안한다.
마인드디자인
서울국제불교박람회, 붓다아트페스티벌을 9년째 기획·운영 중이다. 명상플랫폼 ‘마인드그라운드’를 비롯해 전통사찰브랜딩, 디자인·상품개발, 전통미술공예품 유통플랫폼 등 다양한 통로로 마음을 건강하게 만드는 문화콘텐츠 발굴 및 활성화에 주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