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붓다] 젊음은 최초의 펭귄처럼
상태바
[상상붓다] 젊음은 최초의 펭귄처럼
  • 마인드디자인(김해다)
  • 승인 2021.03.31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제주현대미술관 '2020 New Rising Artist: 불완(不完)의 꽃' 전시 리뷰
강주현 | 그려지고 만들어지는 것에 대하여 | 2020
PVC, Wood, Resin, Stainless steel, Digital print | 150×70×206cm

이어령 교수는 저서 『젊음의 탄생』에서 진정한 젊음을 ‘최초의 펭귄(First Penguin)’에 비유한다. 펭귄들은 뒤뚱뒤뚱 떼를 지어 우르르 바다로 모여들지만 정작 바다로 뛰어들기 직전 머뭇거린다. 바닷속에는 먹잇감도 있지만, 천적도 가득하기 때문이다. 그 불확실한 바다를 향해 맨 먼저 뛰어드는 용감한 펭귄이 바로 최초의 펭귄이다. 최초의 펭귄이 뛰어드는 모습을 본 다른 펭귄들은 일제히 그 뒤를 따라 바다로 뛰어든다. 불확실성의 바다로 뛰어드는 최초의 펭귄은 깨어있는 마음으로 세상을 느끼고, 우리가 알고 있는 세상을 새롭게 발견해낸다. 안정만 추구하느라 제한적이고 정체된 존재로 살아가기보다는 이미 정해져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들을 향해 고개를 갸웃거리는 사람이야말로 최초의 펭귄, 진정한 젊은이라는 뜻이다. 제주현대미술관이 제주 출신 젊은 작가를 조명한 전시, <2020 New Rising Artist: 불완(不完)의 꽃>에서 만난 네 작가의 작품에서도 같은 젊음을 느낄 수 있었다. 

 

강주현: 시간과 공간의 축을 흔들다

강주현 작가는 그가 ‘사진공간드로잉’이라 명명하는 형식을 활용하여 사물을 인식하는 방식을 ‘공간적 차원’에서 ‘시간적 차원’으로 전환한다. 아니, 공간이라는 축과 시간이라는 축의 경계를 허문다고 하는 편에 가깝겠다. 그의 손을 거친 연필, 사다리, 의자 등 일상적 사물은 시간이라는 옷을 입고 공간에 놓이기 때문이다. 곧게 뻗은 연필은 ‘드로잉 하는 중’이라는 시간의 지속 안에서 속도감 있게 휘어진다. 반듯한 사다리는 ‘작업하는 동안’이라는 시간의 궤적을 기록이라도 하는 듯 늘어나고 뒤틀린다. 이 왜곡된 사물들의 형태는 시간과 공간이라는 두 축의 사이를 벌려 비집고 들어갈 수 있는 일종의 틈을 만들어낸다. 공간 속에서 마주하는 사물의 한 면이 굴곡진 시간의 흐름을 타고 풍성해지며 ‘본다는 것’, ‘안다는 것’의 오만함을 깨닫게 한다. 이 조각들은 대상을 카메라로 촬영하고 프린트한 뒤, 가늘고 긴 선 형태로 자른 다음 점토로 제작한 원형 위에 하나씩 붙여 가며 만들어졌다. 조각들은 비록 전시장이라는 공간과 전시를 관람하는 순간이라는 시간에 갇혀 자리하고 있지만, 시간과 공간이라는 두 축 사이를 교란하며 인식하는 행위에 대한 관람자의 틀을 흔든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