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붓다] 아주 작은 사랑과 평화
상태바
[상상붓다] 아주 작은 사랑과 평화
  • 마인드디자인(김해다)
  • 승인 2021.09.29 14: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르코미술관 ‘정재철:사랑과 평화’ 리뷰
아르코미술관 <정재철: 사랑과 평화> 전시 중 <실크로드 프로젝트>(2004-2011) 전시 전경.

지난 7월부터 8월까지, 동숭동에 있는 아르코미술관에서는 지난해 세상을 떠난 정재철 작가의 유고전 <정재철: 사랑과 평화>가 열렸다. 한때 목조각으로 이름을 날렸던 그는 90년대 후반 해외 레지던시 프로그램(예술가들에게 입주할 공간을 제공해 창작 활동을 지원하는 사업)을 거치며 세계를 뒤덮은 자본주의와 그 안에서 사는 인류를 포함한 생명체, 그리고 사물의 ‘삶’에 관심을 가지게 됐다. 그리고 작고 직전까지 약 20년간 전 세계를 떠돌며 자신의 몸을 매체로 작업했다. “삶이 예술이고 여행이 미술”이었던 그. 예술로 세상에 사랑과 평화를 가져다줄 방법을 찾으려 했던 한 유랑 작가의 삶과 예술을 살펴보았다.

 

길을 종이 삼고 몸을 붓 삼아

정재철 작가의 대표적 작품 <실크로드 프로젝트>(2004-2011)는 근대 이전 유라시아를 관통하는 교역 경로였던 실크로드를 따라 국가 간 경계를 넘으며 소비문화의 상징인 폐현수막을 나누어주고, 그 과정에서 맞닥뜨린 우연한 만남, 교류, 사건과 상황을 만들고 기록한 작업이다. 전시장은 <실크로드 프로젝트>에서 탄생한 각종 기록물로 가득 차 있었다. 물론 오브제, 사진, 영상, 텍스트 기록물이 흩뿌려진 전시실에서 작가의 경험을 온전히 전달받기는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그러나 이 프로젝트의 본질은 몇 년에 걸쳐 수천 킬로미터를 이동한 작가와 각 지역 사람들의 경험과 순간들 그 자체이지 않은가. 관람자가 그 흔적을 따라가며 자신만의 순간에 자신만의 메시지를 생성해내는 것이야말로 삶을 예술로 만드는 일일 것이다. 전시장의 모호함 속에서 길을 잃기보다는 시간과 일상에 대한 작가의 태도, 그리고 예술을 통해 사회적 의제를 다루는 한 예술가의 방식을 중심으로 전시장을 여행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