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우당간 강릉 삼척] 강릉의 수호신 범일국사
상태바
[좌우당간 강릉 삼척] 강릉의 수호신 범일국사
  • 김흥삼
  • 승인 2023.06.27 13: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범일, 강릉 굴산사에서 선풍禪風을 휘날리다
삼척 영은사 범일국사진영, 월정사성보박물관 소장

강릉단오제의 주신(主神)

2001년 새 영동고속도로가 개통되기 전까지만 해도 서울에서 강릉에 가려면 대관령을 넘어야 했다. 대관령 정상쯤에 ‘산신당(山神堂)’과 ‘성황사(城隍祠)’라는 현판이 붙은 두 채의 건물이 자리한다. 산신당에는 김유신 장군이 모셔져 있다. 성황사에 모셔진 신은 백마를 타고 활과 화살을 메고 있는 모습인데, 그 앞에 ‘대관령국사성황지신주(大關嶺國師城隍之神主)’라는 나무로 만든 위패가 보인다. ‘국사성황지신’은 신라 말에 실존했던 고승이며, 한국불교 구산선문(九山禪門) 중 사굴산문(闍崛山門)을 개창한 범일(梵日, 810~889) 스님을 가리킨다. 2005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강릉단오제’의 주신이 바로 범일국사다. 범일 스님은 살아생전에 왕으로부터 국사(國師)에 책봉됐으나 받아들인 적이 결코 없다. 하지만 강릉 일대에서는 오래전부터 ‘범일국사’로 불려 왔다. 강릉단오제는 대관령에서 ‘산신제’와 ‘국사성황제’를 올린 후, 국사성황신의 위패와 신목(神木)을 모시는 것으로 시작한다. 스님이 왜 대관령성황신으로 모셔졌는지 의견이 분분하지만, 범일 스님이 강릉을 대표할 만한 종교·문화의 상징으로 일찍부터 믿어져 왔기에 아마도 대관령성황신으로 모셔졌을 것이다. 범일은 품일(品日)이라고도 불렸고, ‘해가 든 물을 마시고 태어났다’고 해서 범일(泛日)이라고도 했다 한다. 구림(鳩林, 경주를 일컫는 말)의 관족(冠族) 김(金)씨로, 할아버지는 명주도독(溟州都督)을 지낸 김술원(金述元)이다. 어머니는 호족 문씨(文氏) 가문 출신으로 세상에서 ‘부녀의 모범’이라 불렸다.

범일이 경주 김씨인 점으로 보아 왕족임을 알 수 있고, 조부가 명주도독을 끝으로 관직에서 물러나 강릉에 계속 거주하게 된 것 같다. 이렇게 지방관으로 파견됐다가 낙향한 귀족의 가계는 이미 몰락해, 경주에서는 더 이상 거주할 수 없는 처지였을 것이다. 그래서 부친은 어떤 벼슬도 못 해 그에 대한 기록이 없는 듯하다. 이것은 범일의 가계가 진골에서 6두품으로 낮아져, 부친 대에는 중앙으로 진출하지 못하고 지방에 머물러 호족 세력으로 토착화됐음을 뜻한다. 

모친이 태기가 있을 무렵 해를 받아들이는 영험한 태몽을 꿨고, 범일은 태 속에 있기를 열석 달 만인 810년(헌덕왕 2) 음력 1월 10일에 출생했다. 범일은 태어났을 때 나계(螺髻) 모양의 머리와 구슬 모양의 정수리를 한 부처의 모습을 갖췄다. 그의 출생과 신체적 특이성은 불교와 본래부터의 인연, 또한 스님이 될 수밖에 없는 연기 법칙을 보여준다. 범일은 결국 15세에 출가를 결심하고, 부모에게 허락을 구하자 양친은 전생에 좋은 인연을 심은 결과라며 승낙했다. 머리를 깎고 입산해 도를 닦다가, 20세 때 경주로 가 구족계를 받았다. 범일은 경주에 머물 당시 상당히 촉망받는 젊은 스님이었다.

 

중국 유학과 귀국

범일은 태화연간(太和年間, 827~835)에 중국에서 법을 구하고자 하는 뜻을 혼자 세웠다. 왕자 김의종을 만나 품은 뜻을 털어놓으니, 훌륭한 포부에 감탄하고는 그의 동행을 허락했다. 836년, 배를 타고 두운(杜雲)과 함께 당나라에 도착했다. 곧 항주(杭州)에 이르고 명주(明州) 개국사(開國寺)에서 일시 머물다 각지로 순례의 길에 올라 선지식을 두루 찾았다. 마침내 항주 염관진(鹽官鎭) 해창원에서 마조(馬祖)의 제자인 염관 제안(濟安)을 뵙고 그의 문하에 들어갔다.

“어떻게 해야 성불을 할 수 있습니까?”라고 범일이 물으니, “도는 닦을 필요가 없으니, 그저 더럽히지 말라. ‘부처다. 보살이다’ 하는 견해를 짓지 말라. 평상시의 마음이 곧 도이니라” 하고 제안이 답했다.

범일은 6년(836~842) 동안 제안의 문하에서 수련하고 인가를 받았다. 제안이 열반에 든 후 약산(藥山)에 이르러 선문답을 나눴다. 그 뒤 운수행각(雲水行脚)을 하다가 844년 장안에 들렀다. 이때 당 무종(武宗)이 불교를 억압하는 법난(法難)을 일으키고는 외국 스님들을 귀국도록 조치했다. 범일은 이를 어기고, 법난을 피해 동분서주하며 힘들게 애쓰다가 황하에서 지역민의 도움을 받았다. 그 뒤 상산(商山)에 은거하여 반년 동안 헤아릴 수 없는 고통을 당하면서도 선정에 힘썼다. 후에 소주(韶州) 조계(曹溪)에 가서 혜능(慧能)의 조사탑(祖師塔)을 예배했다. 범일은 고향으로 돌아가 불법을 펼 생각을 하고는, 847년 8월에 신라로 돌아와 불법을 널리 선양했다. 851년 정월, 백달산(白達山)에서 연좌(宴坐)하고 있을 때 명주도독인 김공(金公)이 굴산사(崛山寺)에 머물러주기를 청했다. 이에 굴산사로 간 후 산문을 열고 입적할 때까지 40여 년 동안 이곳에서 불도를 행하고 좌선하면서 불법을 전했다.

“무엇이 조사의 뜻입니까?”라고 어떤 사람이 물으니,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