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지적 철학 시점] 뜨거운 지구에 찬물 끼얹기 1주일에 하루라도 채식하기
상태바
[전지적 철학 시점] 뜨거운 지구에 찬물 끼얹기 1주일에 하루라도 채식하기
  • 민정희
  • 승인 2021.03.30 18: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후위기와 불교 행동철학

지난해 우리는 기록적인 장마를 경험했다. 장마가 54일이나 계속되면서 농산물 가격이 2~3배 이상 급등했다. 장마가 지나가고 쌀 수확이 끝난 직후 통계청은 2019년 대비 쌀 수확량이 3% 정도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쌀을 직접 재배하고 수확한 농민들의 체감은 달랐다. 농민단체들에 따르면 쌀 수확량이 30% 이상 줄었다. 장마 또는 가뭄이 반복되고 지속되면 한국의 식량 공급은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게 될 것이다. 더 심각한 문제는 한국이 식량 자급률 50% 이하의 대표적인 식량 부족국가라는 점이다. 한국은 전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많은 식량을 수입할 정도로 대외의존도가 높다. 우리 정부를 포함하여 국제사회가 지금과 같은 속도로 기후위기에 대응한다면 기후변화에 따른 재난은 일상이 될 것이고 우리는 심각한 식량 위기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지난해 역대급 장마를 계기로 호주와 미국에서 발생한 산불, 올해 2월 중동과 북아프리카에 내린 폭설과 같은 기후재난이 먼 나라, 먼 미래의 일이 아니라 우리에게도 현재진행형이라는 사실을 깨닫는 이들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시민사회연대기구인 ‘기후위기비상행동’에 교육지원을 요청하는 시민들이 늘고 있고, 광역과 기초단위로 조직되는 지역별 기후위기비상행동 또한 점차 늘고 있다. 

“지구의 기후시스템 붕괴를 막기 위해서는 기온상승을 산업혁명 이전 대비 1.5℃ 이하로 유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전 세계가 배출 가능한 온실가스량이 얼마 남지 않았으며, 7년 이내에 온실가스를 2010년 대비 절반 이상 줄여야 한다.” 

이는 UN 산하의 ‘기후변화에 대한 정부간협의체 IPCC’가 2018년 국제사회에 권고한 내용이다. 기후위기를 우려하는 이들이라면 대부분 이미 이러한 내용을 인지하고 있다. IPCC의 경고대로 기후붕괴와 이에 따른 생태위기를 막기 위해서는 2030년 이전까지 2010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절반 이상 줄이고 2050년 이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여 흡수량과 같아지도록 해야 한다. 일부 과학자들은 산업혁명 이전 대비 기온이 1℃ 상승한 현재, 취약한 사람들이 가장 큰 피해를 보고 있고, 지구가 여섯 번째 대멸종의 초기 단계에 진입했으므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절반이 아니라 70~80%까지 줄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만큼 기후위기 해결이 시급하고 절박하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