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지적 철학 시점] 불교는 어떻게 삶이 되는가?
상태바
[전지적 철학 시점] 불교는 어떻게 삶이 되는가?
  • 조성택
  • 승인 2021.03.30 18: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불교를 철학하다 | 철학의 복권과 불교의 복원

‘전지적 철학 시점’은 다음 두 가지 점을 전제하고 있다. 하나는 “인생과 세계를 사유하며 지혜를 사랑하는 철학이 우리 삶과 동떨어져 있지 않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불교도 인간과 세계의 본질을 사유해 진리에 이르는 사상이자 철학이라는 점”이다. 이 두 가지를 전제하면서 필자에게 요청한 주제는 ‘불교를 철학하다’였다. 요컨대 삶의 양식이 되는 불교 철학에 관한 내용을 써 달라는 것이다. 

이미 전화상으로 집필 약속을 한 터라 되돌릴 수는 없었지만, 청탁서를 읽고 또 읽으면서 난감한 생각이 들었다. 그간 기회가 있을 때마다 지식불교의 폐해를 주장해왔고, 필자의 관점으로 ‘불교 철학’은 지식불교의 한 전형이기 때문이었다. 그런 가운데 문득 한 의문이 들면서 관련된 질문들이 잇달아 떠오르기 시작했다. 

기획자는 왜 삶의 양식이 되는 ‘불교’가 아니라 삶의 양식이 되는 ‘철학으로서 불교’라고 했을까? 

기획자에게 ‘그냥’ 불교와 ‘철학’으로서의 불교의 차이는 무엇일까? 

기획자가 말하는 ‘철학으로서의 불교’란 ‘종교로서의 불교’와 상대되는 개념인가?      

기획자와 가상 대화를 며칠간 이어가면서 생각을 모아갔다. 필자가 평소 가져왔던 지식불교의 문제에 대해서도 다시 곰곰 생각했다. 

불교가 삶의 양식이 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필자의 생각과 기획자의 의도는 일치하고 있다. 그러나 불교가 삶의 양식이 되지 못하고 있는 원인에 대해서는 각자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나는 일상적 실천이 실종되어 버린 ‘철학적’ 불교에 그 원인이 있다고 생각했고 그것을 지식불교의 폐해라고 주장해왔다. 그런데 기획자는 진지한 이성적 사유가 실종되어 버린 ‘종교적’ 불교, 오로지 불보살의 가피력에 기대고 복을 비는 신행 문화에 그 원인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대학에서 철학을 가르치는 교수인 필자는 왜 ‘철학’을 실천이 빠진 이론적 활동이라고만 생각하고, 기획자는 왜 ‘종교적’ 불교가 삶의 양식이 될 수 없다고 생각할까? 

돌이켜 보면 기획자와 나눈 지난 며칠간의 가상 대화는 결국 불교라는 ‘하나’의 전통을 종교와 철학으로 쪼개버린 지난 역사를 반성하는 과정이었다. 불교가 철학적이기도 하고 종교적이기도 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불교에서 철학적인 것과 종교적인 것은 별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지는 것이 아니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제 필자가 무엇을 써야 할지 분명해졌다. 철학과 종교가 삶과 분리되어 온 역사적 과정을 되짚어보면서, 결과적으로 삶과 유리되어 버린 불교를 어떻게 ‘삶의 철학’으로 되돌릴 것인가를 살펴보는 일이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