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지적 철학 시점] 느낌 아니까! 눈·귀·코·혀·몸·마음의 문 지키는 문지기 돼라
상태바
[전지적 철학 시점] 느낌 아니까! 눈·귀·코·혀·몸·마음의 문 지키는 문지기 돼라
  • 서광 스님
  • 승인 2021.03.30 18: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감정과 욕망 조절의 미학

우리 사회는 지금 정치, 경제, 교육, 문화 등 사회 전체가 요동치는 코로나 블루(우울, 무기력), 레드(분노, 짜증), 블랙(좌절감, 암담함)의 소용돌이에 휩쓸려가고 있다. 국민정신건강 실태조사에 의하면 2020년 우울 위험군은 2018년 3.8%에서 20%로 늘어났고, 자살을 생각하는 비율은 4.7%에서 14.8%로 증가했다고 한다. 우울뿐만이 아니다. 연구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로 많은 사람이 분노, 충격, 공포, 불안, 혐오, 슬픔 등 온갖 부정적인 감정들로 고통받고 있다고 한다.       

세계보건기구(WHO) 미주본부의 카리사 에티엔 사무국장이 “코로나 팬데믹으로 생긴 정신건강 문제는 세계 모든 나라의 ‘초대형 악재’가 됐다. 정신건강을 돌보는 것이 코로나19 대응의 핵심이 돼야 한다”고 했듯이, 지금은 그 어느 때보다도 우리의 정신건강을 돌봐야 할 때이다. 

그야말로 순간순간 분출되는 감정의 파도를 우리는 어떻게 대응하고 극복해야 할까? 익숙했던 일상들, 그래서 당연하게 여겼던 삶의 패턴들을 잃어버린 지금, 우리는 예기치 못한 변화(무상함)에서 오는 고통에 직면하면서, 고통으로부터의 해탈, 자유의 로드맵을 보여주는 불교적 해법을 요청받고 있다. 

 

갈수록 느는 혐오 그리고 사성제

알다시피 불교의 궁극적인 목표는 우리 인간이 겪는 괴로움으로부터 완전하게 벗어나도록 하는 것이다. 코로나가 만들어낸 신조어, 코로나 블루, 레드, 블랙에 대해 생각해보자. 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인가? 한마디로 부정적인 감정 상태다. 부정적인 감정은 고통을 유발한다. 그동안 TV나 유튜브 등 다양한 채널에서 수많은 전문가는 저마다 코로나로 인한 정신건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처방전들을 제시해왔다. 일명 행복 호르몬이라 불리는 세로토닌의 분비를 돕는 음식물 섭취를 비롯해 수면, 명상, 햇볕 쬐기, 운동 등 여러 가지 방편을 내놨다. 더욱이 정부 차원에서 엄청난 재정적인 지원을 하고 있지만, 이 모든 것이 일시적인 도움에 그칠 뿐 근본적인 해결은 안 되고 있다. 왜 끊임없이 우리의 고통은 재발하고 심지어 악화되고 있다고 느끼는가? 물론 이러한 현상은 우리 한국만의 문제는 아니다. 온 세계가 천문학적인 재정을 투입하고 다방면의 전문가들이 심도 있는 분석과 해결방안을 내놓고 있음에도 갈수록 혐오와 분노범죄는 늘어나고 있다. 

그렇다면 고통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한 붓다의 처방전인 사성제, 즉 네 가지 거룩한 진리인 고통의 자각, 고통의 원인 통찰, 고통의 원인 제거, 고통의 원인을 제거하는 방법을 적용해보자. 첫 번째 진리는 ‘여기에 코로나로 인한 고통이 있다’이다. 두 번째 진리는 ‘그 고통의 원인은 욕망이다’이다. 다시 말해서 지금 우리가 겪고 있는 우울, 분노, 좌절감 등 고통스러운 감정의 원인, 뿌리에는 욕망이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첫 번째 진리는 쉽게 이해가 간다. 지금 당장 괴롭고 힘드니까 말이다. 그런데 두 번째 진리는 도리어 화를 부추길지 모르겠다. 위로를 받아도 모자랄 판에 고통의 원인이 코로나, 경제적 손실, 실직, 단절감, 정치 행정이 아니라 욕망이라니. 만약 우리가 겪는 미세먼지나 황사가 우리들의 욕망과 무지 때문이라고 하면 쉽게 공감이 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조금만 더 생각해보면 우리의 욕망이 미세먼지가 주는 고통에 적어도 부분적인 원인을 제공한다는 사실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코로나와 맞물려 주식, 부동산이 한바탕 난리가 나고, 온라인 가상화폐에 돈이 몰리고 금융사기가 더 극심해진 현상을 생각해보라. 지금은 다소 소강상태이지만 영혼까지 끌어모아 돈을 빌려서 주식과 주택에 투자한다는 ‘영끌’ 현상도 더 기승을 부리지 않았나. 고통이 극심해지면 고통을 진정시키려는 노력도 커지지만 고통의 원인인 욕망도 더 커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든다.      

세 번째 진리에서는 ‘욕망이 불행과 괴로움의 원인이기 때문에 우리는 욕망을 소멸하여 불행과 괴로움을 극복해야 한다’라고 말한다. 초기불교 경전은 욕망과 욕망으로부터 생겨나는 모든 감정은 괴로움을 초래한다고 가르친다. 그러므로 괴로움을 겪는 사람들은 그 괴로운 감정의 원인인 욕망과 직접 해결을 봐야지 감정과 씨름하고 맞붙어봤자 소용이 없다. 감정은 원인이 아니라 욕망의 결과로서 일어나기 때문이다. 

그래서 네 번째 진리에서는 ‘욕망을 소멸하는 방법으로 여덟 가지 올바른 길, 즉 정견(正見)·정사유(正思惟)·정어(正語)·정업(正業)·정명(正命)·정념(正念)·정정진(正精進)·정정(正定)을 닦아야 한다’고 가르친다. 

 

욕망, 느낌으로 다뤄라

세 번째 진리에서 또다시 문제가 발생한다. 솔직히 우리 중에 누가 욕망과 싸우고 싶고, 또 싸워서 이길 수 있겠는가? 달콤함과 즐거움, 그리고 때로는 삶의 의욕과 활력을 주는 욕망이 반드시 나쁜 것인지 의문이 들지도 모른다. 욕망은 고통도 주지만 분명 즐거움도 주기 때문이다. 아무리 슬픔, 비탄, 고통, 근심, 절망이 사랑하는 사람들로부터 생겨나고, 불행과 행복, 사랑과 미움이 동전의 양면과 같은 것이니 집착하지 말라고 하지만, 미움이 두려워서 사랑을 포기하는 사람이 우리 가운데 얼마나 되겠는가? 우리는 온갖 즐거움과 매력적인 것들이 우리의 오감을 유혹하고, 자본이 도덕이고, 돈이 인격이고 품격처럼 느껴지는 시대를 살고 있다. 부자가 되고 싶고, 사랑받고 싶고 인정받고 싶은 욕망을 버리는 것은 너무 비현실적으로 느껴지지 않는가?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