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래가 된 별님, 북두칠성] 불화로 살펴본 칠성신앙
상태바
[여래가 된 별님, 북두칠성] 불화로 살펴본 칠성신앙
  • 정진희
  • 승인 2022.07.26 13: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점성에서 불교의 신앙으로
그림 1. <해인사 길상암 치성광여래회도>, 1874, 견본채색, 해인사 길상암 소장

깊은 밤 북쪽 하늘에 국자 모양의 7개 별을 일러 북두칠성이라 한다. 우리는 북두칠성의 기운을 받아 태어나고, 칠성판(七星板, 시신 밑에 까는 북두칠성 모양으로 구멍이 뚫린 나무판) 위에서 생을 마감했으며, 할머니나 어머니들은 장독대에 정화수를 떠 놓고 칠성님께 간절히 소원을 빌었다. 인간의 길흉화복과 생명줄까지 모두 칠성님이 주관한다고 믿었기에 절집에서는 일곱 별을 그려 칠성각에 모셨다. 

불화의 명칭은 화면에 그려진 중심이 되는 존격에 따라 정해진다. 따라서 북극성을 인격화한 치성광여래를 본존으로 모신 칠성도의 학술 명칭은 ‘치성광여래도(熾盛光如來圖)’라고 해야 옳다. 하지만 우리가 기도하고 그 기도에 응하는 대상은 북두칠성이기에 이 불화는 ‘칠성도(七星圖)’라고 불려왔다. 

흔히 절집 칠성신앙이 도교의 영향을 받아 생겨났다고 생각하지만, 이는 도불 신앙이 혼습된 조선 후기 이후의 사정이다. 신앙의 변화에 따라 그림의 구성요소가 더해지고 빠지는 특징을 보이는 칠성도를 통해 세월에 따라 변화한 사찰의 칠성신앙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