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량석처럼 사는 산스님_왕모산 삼소굴 운산 스님
상태바
도량석처럼 사는 산스님_왕모산 삼소굴 운산 스님
  • 최호승
  • 승인 2021.08.30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불광초대석 | 산에 들에 살어리랏다

언제부터였을까? 묘한 인연이었다. 스님을 꿈꿨고, 출가하고 싶었고, 고독이 좋았다. 한때 미대 진학을 원하던 소년은 스님만 그리기 시작했고, 목각으로 스님을 새기고 있었다. 교과서와 친해지기는 어려웠지만, 스님 이야기 나오는 책은 선뜻 구해 읽었다. 논에서 잡은 미꾸라지로 마련한 용돈은 불교용품 사는 데 썼다. 염주를 몸에 지니면 마음이 편안해졌고, 부여 고란사에 오르면 잔잔히 퍼져나오는 향냄새도 그렇게 좋았다. 

소년의 머릿속은 온통 스님 생각뿐이었다. ‘어떻게 하면 출가할 수 있을까.’ ‘스님들은 어떻게 살까?’ 옛 절터를 찾아가 털썩 주저앉아 상념에 젖었고, 자율학습 시간에 훌쩍 나와 올라간 절에서 스님들 그림자를 눈에 담기도 했다. 

그렇게 출가 인연이 무르익을 즈음, 소년은 우연히 한 스님을 뵀다. 스님은 된장 두 숟갈을 물에 풀고 시래기를 가위로 듬성듬성 썰어 넣고 끓인 된장국에 밥 한 공기를 후루룩 먹었다. 소년은 눈물이 날 정도로 신심이 일어났다. ‘저런 간소함이 배인 수행자의 모습이 내가 가야 할 길이다.’ 

봉화 청량사에서 행자 생활을 하던 소년은 해인사, 길상사를 거쳐 안동에 자리했다. IT 강국 한국에서 스마트폰을 먹통으로 만드는 왕모산에 암자 하나 짓고 정진 중이다. 소년은 이제 이렇게 불리고 있다. 안동 왕모산 삼소굴(三笑窟)의 ‘백구와 산스님’. 삼소굴에서 운산 스님과 한나절을 함께 보냈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