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서화선리일경론詩書畵禪理一境論

추사는 50대 무렵부터 벼슬에 뜻을 접고 ‘병거사(病居士)’를 자처했다. 병거사는 중생의 병이 치유되지 않는 한 자신도 병을 앓을 수밖에 없다고 하면서 자신을 찾아온 여러 보살에게 불이법문(不二法門)의 묘경을 보여준 유마거사다. 유마거사는 병을 방편으로 문수보살을 비롯한 성문(聲聞)과 보살들에게 신통을 보여 불가사의한 해탈상(解脫象)을 나타내고, 무주(無住)의 근본으로부터 일체법이 성립됨과 삼라만상을 들어 불이법문을 보였다. 추사는 자신도 중생의 병에서 벗어날 수 없는 것에 대한 인식에서 한 차원 더 나아가 자신의 병을 방편으로 당시 시서화단과 불교계에 무언가 계도와 교화를 하고자 했던 뜻이 잠재된 것으로 생각된다.
시·서·화·선리일경론
『유마경』은 뛰어난 문학성을 띠고 있다. 추사가 거론한 모범적인 시인들은 진의 도연명, 당의 왕유·두보·백거이, 송의 소식·황정견·육유, 금의 원호문과 원의 우집, 명의 왕사정과 주이존이다. 나머지는 모두 한 가지 일이 못 되고 방문의 산성과 다름없다고 한다. 왕유는 시문뿐만 아니라 자신의 자조차도 ‘마힐(摩詰)’이라고 하였으며, 백거이는 ‘불이법문’ 등 『유마경』을 반영한 시제를 정할 뿐만 아니라 시문 속에서 직접 유마힐을 자칭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불광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