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년과 입적

추사는 북청에서 만 1년간의 유배 생활을 끝내고 과천의 과지초당(瓜地草堂)으로 돌아온다. 그곳은 예전에 부친 김노경이 별서(別墅)로 마련해둔 곳으로, 추사는 여기에서 4년간 조용히 여생을 보내다 71세로 생을 마감한다. 『완당평전』을 쓴 유홍준은 이때 추사의 삶을 “그 생활은 처연하고 담담하고 편안했다. 결코, 몰락한 귀족이 갖는 비애감 같은 것은 아니었다. 그것은 오히려 불교적 의미로 마음의 비움 같은 것이었다”고 평한다.
이 시절 추사는 자신을 노과(老果)·과형(果兄)·과산(果山)·과파(果坡)·과칠십(果七十)·칠십일과(七十一果) 등으로 표기했는데, 이것은 단지 자신이 과천 사는 사람임을 나타내려는 것만은 아니었으리라. 추사에게 과(果)자는 고단한 인생의 과보(果報)를 뜻하는 것일 수도 있고, 자기 학문과 예술의 완성일 수도 있겠고, 궁극적으로는 도달하고 싶은 택멸(擇滅)의 이계과(離繫果)일 수도 있을 것이다. 사회심리학자 에릭슨(Erikson)은 이런 말을 했다. “노년에 필요한 것은, 인생 전반을 관조하여 자기의 모든 과거를 수용하고 삶 전체를 하나로 통합하는 것이다. 그것은 우주적 차원의 초월로 이어진다”고. 추사는 과천에서 이런 열매를 기다렸는지도 모르겠다.
늙은 천재의 평범 속 비범
월간불광 특집 기사 전문은
유료회원에게만 제공됩니다.
회원가입후 구독신청을 해주세요.
불광미디어 로그인저작권자 © 불광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