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설을 견딘 소나무처럼 제자리를 지킨 고찰 - 안동 봉정사
상태바
풍설을 견딘 소나무처럼 제자리를 지킨 고찰 - 안동 봉정사
  • 노승대
  • 승인 2023.08.18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마음속에 담아둔 절]

최고의 고건축 박물관 봉정사

한국에는 현재 고려시대 건축물이 6점 남아 있다. 5점은 사찰건물로 영주 부석사의 무량수전과 조사당, 안동 봉정사의 극락전, 영천 은해사 거조암의 영산전, 예산 수덕사 대웅전이다. 물론 다 국보다. 1점은 강릉의 객사인 임영관의 출입문인 ‘임영관 삼문’이다. 임영관은 없어지고 3칸으로 된 문만 남아 있다. 이 객사문이 고려시대 건축물이어서 국보로 지정된 것이다. 이 고려시대의 건축물들은 여러 번에 걸친 전쟁의 와중에서도 꿋꿋하게 살아남았다. 그중에서도 사찰건물은 경상북도에 4점이 있고 충청도에 1점이 있다. 

봉정사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7곳 사찰 중의 한 곳이다. 해인사, 대흥사, 법주사 등에 비해 현저히 작은 절이다. 그런데도 봉정사는 당당하게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됐다. 특히 봉정사에는 고려시대의 건축물인 극락전과 조선 초기 건축물인 대웅전이 있다. 두 건물 다 국보다. 조선 초기나 중기의 건물인 고금당, 화엄강당, 만세루가 있고 후기건물인 영산암도 있다. 곧 시대별 건축물을 다 볼 수 있는 고건축박물관이다. 1999년 영국 엘리자베스 여왕이 한국을 방문했을 때 안동 하회마을과 함께 봉정사를 방문한 것도 그만큼 역사적 문화유산이 넉넉했기 때문이다. 봉정사 경내로 진입하려면 주차장에서 옆으로 누운 늙은 노송과 느티나무가 반겨주는 길로 가다가 왼쪽으로 곧게 뻗은 급한 경사의 돌계단 길을 올라가야 한다. 계단 길은 옛 방식대로 울퉁불퉁한 자연석을 사용해 놓은 탓에 길을 잘 살펴 올라가야 한다. 스스로 몸가짐을 낮추고 조심할 수밖에 없다. 

누각 아래에 이르면 천등산봉정사(天燈山鳳停寺) 편액이 보인다. 부드럽고 온유한 글씨체다. 이 편액을 쓴 이는 동농 김가진(1846~1922)이다. 누각 밑을 통과해 돌아서면 만세루 현판이 남쪽으로 걸려 있고 대웅전 쪽으로는 덕휘루(德輝樓) 현판이 걸려 있다. 덕휘루 현판도 동농 선생이 1913년에 쓴 작품이다. ‘봉황새는 천 길 높이로 날면서 덕이 빛나는 곳에 내려온다’라는 옛 글에서 따온 이름이다. 봉정사라는 절 이름에 걸맞은 누각 이름이다. 만세루는 숙종 6년(1680)에 건립된 후 여러 차례 보수된 건물로 그 시대의 건축 수법이 잘 나타나 있는 건물이다. 

 

대웅전, 국보로 승격되다

다시 단정하면서도 날렵한 대웅전을 향해 서면 왼쪽 건물이 화엄강당이고 오른쪽 건물이 무량해회로 스님들의 거주 공간이다. 얼핏 보아도 화엄강당은 기둥은 짧고 지붕이 큰 듯 보이는 건물이다. 화엄강당의 추녀도 대웅전 추녀 아래로 들어가 있다. 대웅전 건물보다 용마루를 높게 할 수가 없어 자연스럽게 높이를 낮추다 보니 이렇게 균형이 어긋난 건물이 된 것이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