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 직지사, 추풍령 넘어 수행자들의 야무진 터전
상태바
김천 직지사, 추풍령 넘어 수행자들의 야무진 터전
  • 노승대
  • 승인 2023.05.31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마음속에 담아둔 절]

향화가 끊기지 않은 가람, 직지사

추풍령을 넘어서면 바로 김천 땅이다. 곧 충청도에서 경상도로 넘어가는 경계선에 있는 고개가 바로 추풍령이다. 예부터 경상도에서 충청도로 넘어가려면 큰 고개 셋 중에서 하나를 택해야 했다. 이곳 추풍령과 문경과 충주 사이의 문경새재, 영주와 단양 사이의 죽령이다. 새재는 새들도 힘들어 쉬면서 넘어가는 고개라고 해서 한자로는 조령(鳥嶺)이라고 불렀다. 이제는 세 곳 다 고속도로가 통과하지만 문경새재와 죽령은 터널로 뚫려 있다. 죽령터널은 그 길이가 4,600m로 한때는 가장 긴 터널로 이름이 알려지기도 했다. 이는 추풍령이 가장 완만한 고개였다는 뜻이다. 

그런데도 조선시대에 과거를 보러 한양으로 올라가는 선비들은 추풍령이나 죽령을 경유하지 않았다. 추풍령을 경유하면 과거시험에서 추풍낙엽처럼 떨어지고 죽령을 경유하면 ‘죽죽~ 미끄러진다’는 속신(俗信)이 전해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구 방향에서 올라오는 선비들은 먼 거리를 마다하지 않고 빙 돌아 김천-상주-문경을 경유해서 새재를 넘어갔다. 문경(聞慶)이라는 지명은 ‘문희경서(聞喜慶瑞)’, ‘기쁘고 경사스럽고 상서로운 일을 듣는다’는 뜻에서 왔다. 과거 응시자가 경사스러운 소식을 듣고자 하는 것은 간절한 염원이니 굳이 징크스가 있다는 고개를 넘어갈 리가 없었던 것이다. 

김천 땅에서 추풍령을 넘기 직전 서쪽 방향으로 바라보면 부드러우면서도 높은 산이 우뚝 솟았다. 황악산(1,111m)이다. 골은 깊고 그윽하니 대가람이 들어섰다. 김천지역을 대표하는 직지사다. 직지사가 언제 창건됐는지 확실한 기록이 없다. 선산의 도리사를 창건한 아도화상이 멀리 황악산을 가리키며 ‘저 산 아래 절을 지을 만한 상서로운 터가 있다’고 말한 데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고 고려 초기 능여(能如) 스님이 사찰을 중창할 때 직접 자신의 손가락으로 길이를 재었기 때문에 절 이름이 생겼다는 설도 있다. 하지만 학계에서는 선종의 가르침인 ‘직지인심 견성성불(直指人心 見性成佛)’에서 사찰의 이름이 유래됐다고 본다. 그러나 선종은 9세기에 이르러 유행했기에 창건 시기가 너무 늦어지게 된다. 

어쨌든 직지사는 창건 이래로 향화의 불빛이 사그라진 적이 없었다. 신라, 고려시대는 말할 것도 없고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도 역시 그러했다. 조선 초기 조정에서 정종의 태를 직지사 북봉에 안장함으로써 직지사는 자연스럽게 대실수호사찰이 되어 조정의 보호를 받았다. 정종 원년(1399) 때 일이니 조선이 개국한 지 불과 7년 만의 일이다. 조선 중기에는 14세의 나이에 부모를 연이어 잃고 직지사로 출가해 신묵화상의 제자가 된 스님이 출현했다. 바로 사명당 유정(1544~1610) 스님이다. 스님은 승과 시험에 급제한 후 30세에 직지사 주지가 됐지만 곧 사양하고 서산대사의 문하에 들어가 크게 깨달았다. 49세 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사명당은 승군의 총대장이 되어 많은 전공을 세웠으나 직지사는 오히려 그 앙갚음으로 쑥대밭이 됐다. 

임진왜란이 끝난 후 직지사는 스님들의 원력과 조정의 도움으로 원만히 중창됐다. 또한 그때부터 전해진 문화유산을 잘 보존해 왔다. 함부로 옛 법당을 손대지 않으면서도 새로운 불사를 잘 진행해서 대가람의 품위를 잘 지키고 있는 곳이 바로 직지사다. 계곡의 물을 끌어들여 경내를 흐르게 하고 연못을 조성해서 여름철의 더위도 누그러뜨릴 수 있게 조경한 것만 보아도 스님들의 세심한 배려와 노력을 알 수 있다. 

 

금자대장경을 조성하다

927년 고려의 왕건과 신라의 경애왕이 연합해서 후백제의 변방 관할지역을 쳐들어가 경상도의 예천을 점령하고 충청도 홍성을 공격했다. 왕건 휘하의 김락 장군은 합천의 대야성을 빼앗았고 고려 수군은 남해를 돌아 진주 일대를 공격했다. 전방위적으로 고려와 신라의 연합군이 변방 지역을 두드리자 전략에 능한 견훤은 상주에서 출발하여 곧바로 군위, 영천을 거쳐 서라벌로 쏜살같이 쳐들어갔다. 서라벌의 방위가 허술한 것을 노린 것이다. 견훤은 지금 상주에서 영천으로 연결된 상주영천고속도로(301번 고속도로) 루트를 따라 최단 거리 지름길로 직행해 포석정에서 경애왕을 죽이고 서라벌을 피바다로 만들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