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자리와 12동물 띠

고대인들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지구를 중심으로 해나 달이 그 주위를 돌고 있다고 생각했다. 띠처럼 둥근 영역을 황도대(黃道帶, Zodiac)라고 부른다. 자연스럽게 이 황도대에 나타나는 별들을 주목하고, 이를 크게 12개의 별자리 영역으로 나누게 됐다.
황도 12궁과 별자리
시계도 없고 기상청도 없던 고대에는 어떻게 시간을 알고 계절의 바뀜을 맞이할 수 있었을까?
수렵채취사회에서 농경·유목사회로 변모하자 이제는 계절의 변화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어야만 했다. 농경민은 곡식 심을 때를 가늠해야 했고 유목민은 좋은 풀이 나는 고장을 때맞춰 찾아가야 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불광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