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춘, 삼재 그리고 부적] 약사여래와 12신장
상태바
[입춘, 삼재 그리고 부적] 약사여래와 12신장
  • 유근자
  • 승인 2023.01.26 19: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불교 경전에 등장한 12가지 동물
도판 1. 중국 당나라 때 무덤 속에서 발견된 십이지상, 중국 섬서성박물관 소장. 사진 유근자

무덤과 탑을 수호하는 12동물

십이간지(十二干支)는 고대로부터 시간과 방위를 상징하는 것으로, 오늘날과 같은 십이지와 동물상이 결합한 시기는 후한 초기 사상가인 왕충(王充, 27~?)이 저술한 『논형(論衡)』에서부터다. 그러나 고고학적 자료를 통해 왕충이 『논형』을 저술하기 이전부터 십이지상은 중국 사회에 수용되고 있었다. 중국에서는 후한 때부터 십이지상이 무덤을 지키는 수호신으로 완전히 정착됐고, 수와 당을 거치면서 전성기를 맞이했다. 십이지상이 당을 통해 신라에 전해진 때는 7세기 말 8세기 초로 추정된다. 동물과 결합한 십이지상은 중국에서 주로 묘지석 또는 무덤 내부에 벽화로 표현되거나 부장품으로 매납(埋納, 시신을 매장할 때 물건을 함께 묻음)됐다(도판 1). 

우리나라에 전해진 십이지상은 왕릉과 불탑을 수호하는 데 사용됐다. 왕릉 내부에 죽은 자와 함께 매납하거나 무덤 둘레에 배치했고(도판 2), 불탑에는 탑신을 받치는 기단의 가장 아래쪽에 표현됐다(도판 3). 왕릉과 불탑에 수용된 십이지상은 초기에는 머리는 동물 형상을 하고, 신체는 사람으로 표현한 수수인신(獸首人身)의 형태를 취했다. 우리나라 불탑에 표현된 십이지상은 중국 당나라 때 무덤에서 출토된 십이지상처럼 머리는 동물상을, 몸은 평복을 입은 사람으로 표현됐다. 

무덤에 매납된 십이지상과 달리 불탑에 표현된 십이지상은 낮은 기단 때문에 평복 차림으로 두 손은 합장한 채 앉아 있다. 한 면에 3구씩 표현된 십이지상은 중앙에 배치된 상은 향우측을, 나머지 두 상은 향좌측을 바라봐 태양이 움직이는 방향으로 탑돌이 하는 예배자의 발길을 따라 움직이는 것처럼 배치됐다. 예천 개심사지 오층석탑 아래 기단에 표현된 십이지상은 - 바로 위 기단에 배치된 칼로 무장한 팔부중과 달리 평복 차림이라는 점에서는 차이가 있지만 - 불탑의 사리를 수호하는 호법신 기능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도판 3)

중국 문화의 영향으로 무덤을 수호하던 십이지상이 통일신라에 전해져 불탑 하단에 배치된 이후 고려시대까지 계승됐다. 그렇다면 불교와 십이지상과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불교 경전에 등장하는 십이지상

불교 경전에 방위와 관련해 십이지 동물상이 등장하는 것은 414~426년에 북량의 담무참(曇無讖, 385~433) 스님이 번역한 『대방등대집경』 「제10 허공목분(虛空目分)」에서다. 「허공목분」은 제22권과 제23권으로 구성됐는데, 십이지상과 관련된 내용은 제23권에 등장한다. 즉 축생을 조복하기 위해 부처님은 열두 동물에 대한 이야기를 했는데,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