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락으로 가는 배 반야용선] 불화 속 반야용선
상태바
[극락으로 가는 배 반야용선] 불화 속 반야용선
  • 이승희
  • 승인 2023.11.23 19: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반야용선의 변화
- 자력신앙에서 타력신앙으로
[도판 1] <미륵하생경변상도>, 1294년, 일본 묘만지 소장

자력왕생과 타력왕생

반야용선도(般若龍船圖)는 극락으로 가는 왕생자(往生者)가 타고 가는 배를 용의 모습으로 묘사한 그림이다. 왕생자만이 용선(龍船)을 타거나, 아미타불과 그 권속이 왕생자를 용선에 태워 서방정토로 인도해 가기도 한다. 배의 머리(선수船首)나 꼬리(선미船尾) 부분, 혹은 배 전체를 마치 살아 움직이는 듯한 용의 모습으로 표현하는 게 반야용선의 특징이다. 고대부터 영혼의 이동 수단으로 여겨졌던 ‘배’는 불교에 수용됐고, 극락으로 가는 왕생의 방편으로 차용돼 개념적으로 진화했다. 

불교에서 ‘배’는 자력왕생(自力往生)과 타력왕생(他力往生)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비유된다. 아미타여래의 존재 여부는 신앙의 성격이 ‘자력’인가 혹은 ‘타력’인가를 밝히는 중요 열쇠다. 『대방광불화엄경』에서 배(船)는 ‘무량한 공덕과 서원을 위한 방편(方便)’으로 제시된다. 이에 반해 아미타신앙에서는 원선(願船), 아미타원선(阿彌陀願船), 사십팔원선(四十八願船), 대비선(大悲船), 자항(慈航) 등 ‘중생이 정토왕생을 위해 타고 가는 것’에 비유된다. 

일반적으로 왕생자를 서방 극락정토로 인도하는 반야용선 신앙은 타력적인 성격이 강하다. 즉 왕생하는 데 그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인간의 의지가 아니라 아미타불의 광대한 자비와 서원에 기대야 한다는 것이다. 그만큼 아미타불의 본원력이 절대적이다. 그런데 용선 앞에 붙은 ‘반야(般若)’는 타력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 

반야는 ‘모든 법의 진실상(眞實相)을 체득한 지혜’라는 의미다. 즉 지혜를 깨닫는 과정은 남에게 의지하는 게 아닌, 스스로의 지극한 노력이 동반돼야 한다. 그렇다면 자력과 타력이 공존하는 반야용선이라는 용어는 어떻게 성립됐을까? 불화의 도상으로 널리 그려진 배경은 무엇일까? 이를 역사와 사상적인 맥락에서 살펴보자. 

 

 

마음속 불성을 깨닫게 하소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이른 시기에 제작된 반야용선 도상은 묘만지(妙滿寺)에 소장된 1294년 작 <미륵하생경변상도(彌勒下生經變相圖)>이다[도판 1]. 그림 위쪽에는 미륵불이 하생(下生)한 용화회(龍華會)가 펼쳐지고, 아래쪽에는 거칠게 물결치는 바다 위에 두 척의 배가 그려져 있다. 배마다 각각 9명의 왕생자가 승선하고 있다. 서로 마주 보는 배에는 승려와 속인이 함께 탑승하고 있는데, 승려를 제외한 남성과 여성은 각기 다른 배에 타고 있다. 여성의 화려한 머리 장식과 의복, 남성이 쓴 관모 등으로 볼 때 당시 귀족의 모습과 승려의 형상을 염두에 두고 표현한 듯하다. 

그런데 특이하게도 용선에는 불보살의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그 이유는, 당시 고려불화를 조성할 때 중요한 후원자 계층이었던 승려와 귀족들의 신앙관과 연결된다. 그들은 타력에 의한 극락왕생보다는 자신들의 마음속에 내재한 불성을 깨닫기 위한 자력수행에 더 큰 가치를 두었기 때문이다. 

“비로자나불의 법신(法身)을 깨닫고 화엄세계에 들어가서, 

미륵의 비밀스러운 수기를 받아 반야선에 오르소서.

(悟毗盧之法身 入華嚴界 受彌勒之秘記 乘般若船)”

- 『동문선』 권111, 「신총랑오재소(辛惣郞五齋疏)」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었던 이첨(李詹, 1345 ~1405)이 부인의 극락왕생과 성불을 기원하며 지었던 발원문이다. 이 글에서 말하는 “미륵의 비밀스러운 수기”는 무엇일까? 

미륵을 주존으로 모시는 법상종(法相宗)에서는 인간은 진여(眞如)의 완전한 깨달음, 즉 불성(佛性)을 지니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체계적이고 점진적인 보살도의 실행으로 불성을 발견할 수 있다고 한다. 따라서 미륵이 세존으로부터 ‘미래에 부처가 될 것’이라는 성불(成佛)의 수기(授記)를 받았던 것과 마찬가지로, 일체중생은 불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미륵과 마찬가지로 성불할 수 있다고 한다. 결국 ‘미륵의 비밀스러운 수기’는 곧 일체중생도 성불의 수기를 받은 것이며, 반야선에 올라 정각에 이를 수 있다는 의미다. 

성불로 나아가는 반야선(般若船)의 개념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인 권근(權近, 1352~1409)의 문집인 『양촌집』에도 기록됐다. 

“선대의 조종고비(祖宗考妣)와 먼저 가신 자서권속(子壻眷屬)과 

법계의 함령(含靈)까지 수승한 인연을 맺어 

반야선에 올라 정각에 다다르길 바랍니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