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붓다의 신화] 목숨 걸고 보시하는 이는 행복하다
상태바
[붓다의 신화] 목숨 걸고 보시하는 이는 행복하다
  • 동명 스님
  • 승인 2022.05.03 09: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무주상보시인가, 목숨 건 보시인가?

마치 천상 사람처럼 곱고 단정하고 아름답게 차려입은 사람들이 부드럽고 아름다운 음악이 울리는 가운데 향(香), 등(燈), 꽃, 차(茶), 과일, 쌀 등을 이마 위까지 올린 채 조심스럽게 불단을 향하여 다가간다. 조심스러우면서도 가벼운 발걸음이라 마치 발을 바닥에 딛지 않고 걷는 듯한 느낌을 준다. 어쩌면 저렇게 공손할 수 있을까! 감탄사가 절로 나올 정도로 우아하게 불전에 나아가서는 다시 이마 위로 공양물을 공손하게 들었다가 조심스럽게 불단 위에 올려놓는다. 부처님오신날 봉축 법요식을 봉행하기 전에 진행하는 육법공양(六法供養) 장면이다. 육법공양이란 향과 등, 꽃, 차, 과일, 쌀 등을 부처님께 올리는 의식이다.

향과 등과 꽃은 붓다 시대에 재가신도들이 붓다를 위해 가장 자주 공양했던 품목들이고, 차와 과일과 쌀(밥)은 대중공양 때에 빠질 수 없는 품목들이다. 향이나 등이나 꽃은 인간의 생존에 필수적이지는 않은 것이다. 물론 탁발을 나온 붓다와 제자들에게 생존에 필수적인 음식을 공양하는 경우가 많았겠지만, 경전에는 생존에 필수적이지 않은 향이나 등이나 꽃이 더 자주 등장한다. 그만큼 그 시대 사람들이 먹고사는 데 급급하지 않고 여유가 있었음을 말해주는 것이 아닐까 싶다.

『금강경』에서는 무주상(無住相) 보시를 강조한다. 보시를 하고서도 보시했다는 상을 갖지 않는 것이다. 보시하고서도 보시했다는 상을 갖지 않는 것은 쉽지 않다. 일창 스님은 보시의 공덕을 크게 하는 요소를 다섯 가지로 정리한다. 첫째, 보시하는 이 스스로 계를 잘 지켜야 한다. 둘째, 계를 잘 지키는 사람에게 보시해야 한다. 셋째, 정당하게 얻은 것을 보시해야 한다. 넷째, 보시하기 전에도 기뻐하고 보시하면서도 기뻐하고 보시하고 나서도 기뻐해야 한다. 다섯째, 업과 업의 과보에 대해 확실한 믿음을 갖고 보시해야 한다. (일창 스님, 『부처님을 만나다』, 이솔출판, 2012, 285쪽.)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