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우도十牛圖] 소를 주제로 한 그림(牛圖)
상태바
[십우도十牛圖] 소를 주제로 한 그림(牛圖)
  • 손태호
  • 승인 2024.02.22 16: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화의 소
[도판 1] <견우직녀도>, 408년, 덕흥리 고분 전실 남쪽 천장 부분

고구려의 소 그림

우리 민족은 고대부터 소를 매우 신성시해, 제천행사나 순장용으로 가장 많이 이용한 동물이 소였다. 그래서 국가적으로 중요한 점을 칠 때는 소를 잡아 제사를 지내고 남은 소뼈로 길흉을 점치기도 했다. 또한 농경 생활을 주축으로 살아온 우리 민족에게 소는 농사에 필수적인 노동력이자 일상생활의 귀중한 운송 수단이었다. 시골에서 소는 농토를 제외하면 자산 1호였기에 “소를 팔아 대학을 보냈다”라는 말이 높은 교육열을 대변하기도 했다. 소는 살아서는 노동력과 우유를 제공하고, 죽어서는 고기와 가죽을 제공한다. 그리고 뼈는 공예품으로 사용됐다. 

소는 단순한 가축이 아니라 가족의 일원이나 마찬가지였다. 한집에 사는 식구(하인이나 종)란 뜻으로 ‘생구(生口)’라 부르기도 했고, 정월 대보름에는 사람과 똑같이 오곡밥을 먹이기도 했다. 이처럼 소는 우리 생활과 매우 밀접했기에 그림으로 그려진 경우가 많았다. 우리나라에서 소가 등장하는 최초의 그림은 고구려 고분벽화다. 

평양 덕흥리 고분 천장에는 유명한 <견우직녀도>[도판 1]가 그려져 있다. 오른쪽 위에서 좌측 아래로 푸른빛의 대각선으로 강처럼 그려진 부분이 은하수고, 그 왼쪽에 소를 몰고 있는 견우가, 오른쪽에는 직녀가 서 있다. 견우와 직녀 이야기는 아름다운 사랑 이야기지만 결국 가슴 아픈 이별 이야기다. 그래서 그림도 ‘소는 모는 사람’이란 뜻인 견우(牽牛)가 은하수를 사이에 두고 건너편 직녀와 반대 방향으로 멀어지고 있다. 무덤은 사랑하는 이들과 이별하는 공간이므로 <견우직녀도>는 고분벽화에 잘 어울리는 주제라고 할 수도 있다. 사랑하는 사람을 떠나보내는 남겨진 사람들의 슬픔이 이런 그림을 남긴 이유가 아니었을까.

덕흥리 고분보다 더 시기가 앞서는 안악 3호분에도 외양간 모습이 그려져 있는데 소 네 마리가 옹기종기 모여 엎드려 있다[도판 2]. 외양간에 소가 여러 마리가 있다는 것은 그만큼 풍족한 생활을 한다는 의미다. 여기에는 망자가 사후에도 경제적으로 풍족한 곳에 다시 태어나길 바라는 바람이 녹아 있다. 

이처럼 오래전 고구려 고분벽화 그림에서부터 소가 등장했다는 점에서 고대부터 우리 민족에게 소가 얼마나 중요한 가축이었는지를 알 수 있다. 고구려 고분벽화에 등장하는 소뿔의 모습은 중국 물소와 달리 조선시대 소 그림의 뿔 모양과 흡사하다. 이를 통해 한국 소의 모습은 원래부터 중국 소와는 다른 모습이었음을 알 수 있다. 

 

고려시대 소 그림

소가 신성하고 하늘과 이어진다는 이미지는 고려시대에도 전해져 불교국가였던 고려의 불화와 조각에도 등장한다. 미국 보스턴박물관 소장 <치성광여래강림도>[도판 3]에는 북극성을 신격화한 치성광여래가 소가 끄는 마차를 타고 여러 보살과 함께 인간 세상으로 내려오고 있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