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래가 된 별님, 북두칠성] 절집의 칠월칠석
상태바
[여래가 된 별님, 북두칠성] 절집의 칠월칠석
  • 구미래
  • 승인 2022.07.26 14: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간의 칠석명절, 절집의 칠성기도
밀양 만어사 삼성각
칠성각은 우리나라 사찰에서만 볼 수 있는 특유의 전각으로, 북두칠성(北斗七星), 즉 칠성여래를 모신 전각이다. 칠성을 단독으로 모신 전각을 칠성전(七星殿) 혹은 칠성각(七星閣)이라 한다. 칠성, 나한, 산신을 한 건물에 모실 때는 보통 삼성각(三聖閣)이라 한다. 이 경우도 칠성이 중앙에 위치한다. 칠성각은 금륜전(金輪殿), 북두각(北斗閣), 북극전(北極殿) 등 다양한 이름으로 모시기도 한다.

‘칠’월 ‘칠’석에 만나는 이유

음력으로 7월 7일은 별들의 날이다. 북두칠성(北斗七星)인 칠성신을 섬기는 날이요, 견우성(牽牛星)·직녀성(織女星) 두 별자리의 인격신이 일 년에 한 번 만나는 날로 여기기 때문이다. 

칠성신앙의 주인공인 칠성신(七星神)에 대해 먼저 살펴보자. 하늘에서 빛을 발하는 해와 달과 무수한 별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민간신앙의 기반이 돼 풍요로운 문화를 일궈온 주인공들이다. 옛사람들은 하늘이 인간의 운명을 다스린다고 믿었으며, 해와 달뿐만 아니라 별 가운데 1년 어느 때라도 볼 수 있는 북두칠성을 으뜸가는 별자리로 여겨 섬겼다. 북두칠성이 신앙의 대상이 된 데는 ‘일곱 개의 별’이라는 숫자의 상징성도 중요했다. 

숫자 7은 동서양 모두 길수(吉數)로 여기는데, 그 기원은 하늘에 있다. 망원경이 나오기 전까지 인류는 하늘에 해와 달 그리고 수성·금성·화성·목성·토성의 일곱 개 천체가 있다고 믿었다. 그래서 이를 일주일의 기준으로 삼았고, 동양에서는 우주 만물의 근원인 일월(日月), 즉 음양(陰陽)과 오행(五行)을 각 천체의 이름에 대입했다. 북두칠성 또한 일곱 개로 이뤄져, 숫자 7은 하늘을 이루는 근원적인 수이자 우주의 의미를 해명하는 신성한 수로 여겼다. 그러니 칠성신을 섬기기에 가장 적합한 날도 7월 7일인 셈이다.

북두칠성에 대한 자연 발생의 신앙이 본격적인 칠성신앙으로 체계화된 데는 도교의 영향이 컸다. 도교에서는 별이 인간의 수명과 길흉화복을 지배한다는 사상을 지녀, 북두칠성을 인격화된 칠성신으로 좌정시킨 것이다. 우리나라에도 북두칠성과 일월성신(日月星辰)을 신성하게 여기는 관념이 뿌리 깊었다. 

청동기시대 고조선 사람들은 고인돌 뚜껑에 북두칠성을 새겼고, 고구려 고분벽화에도 무덤 속 천장에 북두칠성을 크게 그려 넣었다. 그런가 하면 『삼국유사』에 “김유신은 칠요(七曜)의 정기를 타고나, 등에는 칠성(七星)의 무늬가 있다”고 했다. 일·월·수성·금성·화성·목성·토성 등 칠요의 정기와 북두칠성의 상징을 지녔으니, 하늘의 뜻에 따라 태어난 존재라는 뜻이다. 

또한 7수가 겹친 이날에 견우성·직녀성을 두고 사랑 이야기가 생겨나, 이날을 칠석(七夕)이라 부르게 됐다. 칠석 무렵이면 은하수를 사이에 둔 두 별이 가깝게 보여, 옥황상제의 노여움으로 헤어지게 된 견우·직녀가 일 년에 한 번 만나는 날이라는 상상력을 펼친 셈이다. 따라서 고구려 덕흥리 고분에는 견우와 직녀의 안타까운 만남을 벽화로 그려놓았다. 이날 민간에서는 칠석제(七夕祭)를 올리는가 하면, 바느질감과 과일을 차려놓고 길쌈·바느질 솜씨가 좋아지길 비는 걸교(乞巧) 풍습이 이어져, 견우·직녀를 둘러싼 문화와 신앙 또한 다채로웠다. 

이렇듯 ‘별들의 잔치’라 할 만큼 풍요로운 칠석 명절이 오늘날 민간에서는 그 빛을 잃어버리고 말았다. 그러나 사찰에서는 칠성신께 가족의 행복을 기원하는 칠성기도가 이어지고, 견우·직녀를 상징해 미혼남녀의 소중한 인연을 맺어주는 칠석법회를 치르며 전통문화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