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함경의 世界(3) / 업설(業說)의 참뜻
상태바
아함경의 世界(3) / 업설(業說)의 참뜻
  • 관리자
  • 승인 2008.03.0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 업설의 이론적 근거

 사람들은 누구나 나름대로의 생활철학을 하나씩은 지니고 있다. 바쁘고 복잡한 오늘을 살아가는 현대인은 자칫하면 자아를 잃어버리기 쉬운데, 그런 현대인에게 건전한 생활철학은 자신을 잃지 않고 살필 수 있는 귀중한 의지처가 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종교는 훌륭한 생활철학을 많이 제시하는데 그것은 다름아닌 종교의 실천적 교설을 말한다. 그리고 그런 실천적 교설은 불교의 초기경전인 아함에서도 무수히 설해져 있다. 곧 사념처(四念處)·사정단(四正斷)·사신족(四神足)·오근(五根)·오력(五力)·칠각지(七覺支)·팔정도(八正道) 등의 간결한 술어로 표현되고 있는 것들인데, 사실 가장 기본적이며 제일 먼저 닦아야 할 교리로 평가되는 것은 업설(業設)이다. 그래서 불자라면 업설에 입각해서 생활을 반성하는 사람이 많은 것이다.

 그런데 실천적 교설이 있기 위해서는 그것을 타당한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합리적인 이론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것은 정당한 이유를 동반하지 않는 행위는 무의미하며 나아가 악의 범주에 떨어질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효과있는 실천은 합리적인 이론을 전제로 할 것이 요청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교적 친숙해 있다할 수 있을 업설에 대해서도 막연하게 받아 지느니보다는 정확한 근거가 되는 합리적인 이론을 충분히 살피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앞서 우리는 세계는 브라흐만신(Brahman神)에 의해 창조되었다는 바라문교의 이론을 음미해 보았다. 이 이론에 입각 할 때 인간을 포함한 모든 존재는 종속적 피조물에 불과하고 따라서 인간의 길흉화복은 창조신의 의지에 있으므로 인간이 화를 멀리하고 복을 부르기 위해서는 창조신에게 기도와 제사를 통해 관계를 맺는 수밖에 없을 것이 예상된다. 사실 아함에서는 수백마리의 소와 양이 바라문교의 공희(供犧)를 위해 살상되어 제단에 바쳐지는 제사라는 종교적 실천을 볼 수 있다. <     券4>

 그런데 제사라는 실천원리를 낳은 바라문교의 유신론적인 사상은 일체의 의지적 작용이 모두 창조주인 유일신에게 귀속되므로 인간에게 분명히 존재하는 의지와 욕심 및 죄악의 문제를 해결못하는 큰 모순을 안고 있음이 지적된다. 따라서 올바르지 못한 이론을 바탕으로 성립된 유일신에 대한 기도와 제사도 역시 올바른 실천방식이라 할 수 없게 된다.

 이런 입장에서 불교는 업설이란 실천원리의 이론적 근거가 되는 교설로 십이처설(十二處說)이란 교리를 제시하는데 그 교설은 매우 합리적이어서 그로부터 발전하는 업설이 어떤 모순에도 빠지지 않도록 튼튼한 기초를 이루어 준다. 그래서 십이처설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뒤 업설을 제대로 이해한다면 이것은 복잡한 현대를 사는 우리들이 언제나 좌우에 두고 새길만한 생활철학으로 손색이 없을 것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