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길은 절이다. 수행의 기나긴 여정 위에 있는 절은 길이다. 그 절길을 걸어 운동화 한 켤레 버릴 즈음이면 문득 지금까지 걸어온 그 길이 곧 두타의 길과 다름없었음을 깨닫게 된다. 모든 집착을 버리고 최소한의 도구로 살아가면서 맑은 마음으로 회귀하는 12두타행. 그 두타의 정신을 되새기며 새롭게 걷는 순례의 길에 진리의 달이 벗처럼 마중을 나온다. 마치 달이 운행하듯 인연의 궤도를 따라 제주의 절길을 걷는 ‘제주 불교 순례 12월력도(十二月歷道)’는 제주지역 사찰을 12개 지역으로 나눠 12두타행의 길로 요약 정리한 것이다.
1월도는 재아란야처(在阿蘭若處)의 길이다. 이 길은 번잡한 도시를 떠나 고요한 숲길을 걸으며 마음을 쉬는 수행의 길로 20.4km, 5시간 15분, 5개의 사찰을 순례한다. 구품연지의 세계를 구현해 놓은 하원 법화사에서 무오법정사 항일운동의 주역인 방동화 스님이 창건한 원만사를 거쳐, 법정악 무오법정사 항일운동 발상지를 둘러보고 영실 수로길로 접어든다. 한라산의 맑은 기운이 응향(凝香)이 되어 감싸는 영실의 깊고 그윽한 숲을 걸어 나오면 길은 존자암 그리고 오백나한사로 이어진다. 존자암은 제주 불교 초전 법륜지로 알려진 곳으로 세존사리탑이 제주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 한라산 영실 오백나한사는 영실 수행 터에 조계종 종정 고암 대종사께서 안거하신 인연으로 현재에 이르게 된 사찰이다. 이곳의 오백나한전은 서귀포시 향토유형유산 제8호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
2월도는 상행걸식(常行乞食)의 길이다. 이 길은 음식에 대한 욕심을 내려놓고 바람보다 가볍게 걷는 수행의 길로 12.8km, 3시간 45분을 걸으며 8개의 사찰을 순례한다. 제주 성안을 지켜주는 복신미륵 서자복 해륜사에서 용연 해안을 따라 동쪽으로 걷다 보면 산지천을 지나 건입동 복신미륵 동자복을 만날 수 있다. 고려시대에 조성된 미륵불로 추정되는 서자복과 동자복은 제주시의 서쪽과 동쪽에서 서로 마주 보며 성안을 지켜준다. 성 밖으로 나오면 사라봉과 별도봉을 따라 사라사, 보림사, 원명선원 등에 참배할 수 있고 보덕사를 거쳐 삼양 원당사지로 접어들게 된다. 삼첩칠봉(三疊七峯) 원당봉에 의지한 원당사, 불탑사, 문강사 등은 원나라 기황후가 아들을 얻기 위해 세웠던 원당사지에 인연하여 일어난 사찰들이다. 불탑사 5층 석탑은 보물 제1187호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