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초들의 ‘해원(解冤)’ 푸는 제주 신앙

‘절오백 당(堂)오백’이라는 표현은 제주도 신앙의 특징을 대표하는 말이다. ‘절에 가듯 당에 가고, 당에 가듯 절에 가는’ 비승비속(非僧非俗)적인 무불융합의 형태로, 민간신앙과의 공존과 융화라는 제주 불교의 특징을 잘 설명해준다.
현재까지도 전승되는 제주도 영등굿 속에는 생불, 전륜대왕, 지장 등 불교의 불보살들이 신으로서 기원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는 제주 사람들이 경험을 통해 배우고 얻은 세계관이다. 제주 사람들의 고통스러운 삶, 막힌 혈관 속의 문제를 풀어줌으로써 피를 흐르게 하는 ‘풀림’이 없다면 믿음이 될 수 없었다. 불교가 제주에 전래돼 무속과 동전의 양면처럼 공존하게 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산신기도
제주는 섬과 한라산이라는 지역적 특성상, 산신기도가 제주인들의 삶 속에 깊숙이 파고들어 독특한 신앙문화로 자리 잡았다. 한라산은 민족의 영산이다. 제주에 사람들이 살기 시작한 이래 제주 사람들에게 한라산은 곧 제주도다. 역사, 자연, 전설까지도 한라산과 함께 공유한다. 그래서인지 한라산 주변으로 수많은 사찰이 있고, 대부분 사찰의 이름 앞에는 한라산이 붙는다. 산신신앙은 불교 세계 속으로 들어와 재물과 수명, 그리고 복덕을 관장하면서 도량을 수호하는 신으로 자리매김했다. 사찰에 따라 산신각 혹은 삼성각에 봉안되거나 대웅전 등에 탱화로 모셔졌으며, 대부분 사찰에서 산신기도를 봉행한다.
월간불광 특집 기사 전문은
유료회원에게만 제공됩니다.
회원가입후 구독신청을 해주세요.
불광미디어 로그인저작권자 © 불광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