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쉬운 교리강좌] 정토사상(淨土思想)
상태바
[알기쉬운 교리강좌] 정토사상(淨土思想)
  • 해주스님
  • 승인 2007.10.1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알기 쉬운 교리강좌

자각적인 선(禪 )은 물론이고 지금까지 살펴 온 불교사상이 법에 의지하고 자신에 의지하는 자력신앙의 형태를 가진 것임에 반해, 정토사상(淨土思想)은 아미타불의 본원력에 의지하여 정토에 왕생하는 이론과 방법으로서 이러한 신앙을 타력신앙이라고 부른다.

정토교설에 해당하는 많은 경전중 특히『무량수경(無量壽經,大徑』,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觀經』, 『아미타경(阿彌陀經,小經』의 3부경(일본에서 이를 淨土三部經이라 명명함)을 소의로 하여 정토종이 성립하고 정토사상이 천명되었다.

중국에 정토사상이 처음 전파된 것은 후한 명제 때 안세고가 『불설무량수경』을 역출함으로로부터이다. 이 경은 그 후에도 여러 차례 번역되었는데 정토3부경으로 신봉된 것은 강승개가 역출(252년)한 『무량수경』이다.

『무량수경』은 아미타불이 극락세계를 건설하게 된 원인인 법장보살의 48원과 염불을 통한 극락왕생을 설하고 있다. 『관무량수경』(강량야사 역)은 주로 극락왕생의 방법으로서 정산 2선(定善, 散善)의 16관을 설하고 있다. 그리고 『아미타경』은 아미타불과 서방정토의 장엄을 설하고 그러한 정토에 왕생하는 길로서 아미타불의 칭명염불을 제시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이러한 정토계경전에 설해진 교설을 바탕으로 정토사상이 전개되고 정토종이 성립되었던 것이다. 중국의 정토교가로서는 여산 혜원류, 도작 선도류, 자민류 등의 계통이 있는데, 정토교를 독립 대성시킨 것은 당대 도작(道綽)과 선도(善導)의 공적으로 인정되고 있다.

혜원은 여산에서 백련사(白蓮社)를 열어 염불을 권하였으니 123인이 염불의 청정업을 닦아 일세를 풍미했다. 이 여산류와는 달리 그 근원을 인도에 두고 한국, 일본의 정토교로 발전시킨 것은 정토론을 역출(529)한 북위의 보리유지 계통이다.

보리유지로부터 관무량수경, 정토론을 배운 담란은 오로지 염불에 의하여 서방왕생을 기약하였다. 그는 미타정토는 삼계에 속한 것이 아님을 밝히고, 항상 스스로 지혜가 얕은 범부임을 자각하며 범부의 왕생은 부처님의 원력인 타력에 의함을 논하였다. 그리하여 칭명염불(稱名念佛)의 한 계통을 세우기에 이르렀다. 이 담란의 정계가 도작이며 다시 선도가 계승하였던 것이다 .

도작(562-645)은 담란의 입적 후 10년경에 출생하여 담란의 비문을 보고 감격해서 정토교에 들어갔다. 그는 모든 이들이 다 염불하기 쉽도록 소둑(小豆)로써 칭명한 것을 계산케하는 소위 소두염불(小豆念佛)을 전하였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