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은 답을 알고 있다
상태바
물은 답을 알고 있다
  • 관리자
  • 승인 2007.10.0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함께 사는 세상 이렇게 일굽시다

최근 들어 우리 사회에서 ‘함께 사는 세상’의 모습을 자주 본다. 언론이나 시민단체 등에서 주도하는 가난의 대물림을 끊어주기 위한 ‘We Start’ 운동, 나눔의 미덕을 추구하는 ‘아름다운 가게’ 등이 대표적이다. 경제적 불평등의 지속을 개선하려는, 혹은 건전하고 도덕적인 소비를 통해 보람과 이익을 추구하려는 이런 민간 운동들은 그래도 우리가 사는 세상의 훈기를 느끼게 해준다. 무한경쟁의 숨가쁜 속도와 불안의 그림자를 드리우는 직장생활, 집단이기주의와 님비현상이 여전한 상황에서 만나게 되는 이런 ‘이타행의 배려’는 여간 향기롭지 않다.

함께 한다는 것은 아름다운 일이다. 속담에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 했고, “콩 한 쪽도 나누어 먹는다”고도 했다. 쉬운 일도 함께 하면 더 쉬우며, 어려운 환경에 처했을 때에는 작은 힘이나마 서로 도우면 좋다는 이야기가 되겠다.

돕는 게 아름답지 않다는 말은 들어본 일이 없다. 그러므로 함께 한다는 것은 제생명의 주체적 연대니, 공동체 삶의 윤리적 실천이니 하는 말로 어렵게 표현할 필요가 없다. 그것은 아주 단순하다. 또한 아주 단순해서 아름답다. 서로를 돕는 것이다. 도움은 생명의 기본 원리이다. 사람의 세포마다 들어 있는 23쌍의 염색체에는 무려 30억 개에 이르는 염기쌍이 배열되어 있는데, 이런 조합들이 일사불란하게 상호 도움활동을 하지 못하면 생명력에 장애를 초래한다.

뿐만 아니다. 모든 개체의 탄생과 성장 과정에 이 원리가 적용되며, 개체와 개체 사이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나’는 ‘나 아닌 모든 것들’과 도움으로 연대한다. 도움이 없는 삶이란 본질적으로 있을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함께 사는 세상’을 일구는 데에는 나는 곧 너이고 우리이며, 하나인 것은 동시에 여럿이고, 여럿인 것 역시 하나임을 올바르게 바라보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 내면으로부터의 깊은 깨달음이 없으면 우리들 삶의 본질이 도움에 있다는 사실을 잊게 되고, 그러면 ‘나는 나대로, 너는 너대로’의 배타적 차별에 감염되어 승리와 정복의 논리에 영혼을 저당잡히고 만다.

의식의 개혁, 내면의 깊은 깨달음이 없는 도움의 실천은 뿌리 없는 나무와 같고 머지 않아 원천이 고갈될 샘물과 같다. 도움의 진정한 실천은 스스로를 사랑하는 힘으로부터 나오며, 상대방을 자신 속에 그리고 자신을 상대방 속에 함께 껴안는 동체대비의 정신에서 비롯되어야 한다. “이것이 있으므로 해서 저것이 있다”는 연기법(緣起法)도 도움으로 함께 사는 삶의 본질을 묘파한 숭고한 가르침이 아니던가. 사람과 사람 사이의 만남이 그러하며 인사(人事)와 자연의 관계 역시 마찬가지다. 타인에 대한 무관심이나 미움과 배척은 부메랑이 되어 정확하게 자신에게 돌아온다. 왼손이 잘못했다고 오른손이 왼손을 때리면 두 손이 함께 아픈 게 현실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