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이 있고 난 후 산은 그 빼어남을 드러내니
상태바
절이 있고 난 후 산은 그 빼어남을 드러내니
  • 관리자
  • 승인 2007.09.3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산사기행/덕유산 용추사

덕유산 자락의 나무들이 벌써 연초록으로 물이 오른다. 지난 해 이맘 때 허벅지까지 눈이 쌓여 있던 양양(襄陽)의 만월산 명주사와는 천지 차이다. 높지는 않되 이 땅의 산 깊음을 예서 다시금 확인한다.

덩달아 용추사(주지 선해 스님, 055-962-4638)로 향하던 발걸음까지 새록새록 돋아나는 봄 감흥에 겨워 한번 멈추어 서서는 영 나아가질 못한다. 그런 발걸음을 다시 멈춰 세운 것은 장수골 용추계곡 들머리의 부도밭이다. 9기의 석종형 부도였는데 그 크기도 크기려니와 드문드문 꽃문양의 정성 깃든 손길이 배어 있는 모양새가 옛절의 위엄있는 가풍을 말없이 전해주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발길을 재촉해 계곡을 거슬러 오르니 홀연히 너른 터가 눈앞에 펼쳐진다. 옛 장수사(長水寺) 터다. 그 한가운데 낮은 석축 위에 정교하게 짜맞추어 올린 예스런 문이 서 있는데 ‘덕유산장수사조계문’이라는 이름을 달고 있다. 지금은 용추사 일주문으로 불려지는데 두 아름이 넘는 기둥 위에 다포계의 팔작집을 올려놓았다. 기둥 사이로 보이는 계곡 너머 파란 하늘과 기둥 아래서 바라보는 포작의 정교함이 가히 일품이다.

장수사 터는 용추사와 더불어 덕유산으로 크게 올라선 백두대간이 지리산으로 내달리기 직전 동남 방향으로 월봉산(1,272m)을 넘어 금원(1,353m), 기백산(1,330m)으로 뻗어 내린 산줄기와 거망(1,245), 황석산(1,190m)으로 뻗어 내린 산줄기의 사이에 자리잡고 있다. 용추폭포를 사이에 두고 각각 기백산(일명 지우산)과 거망산에 안겨 마주하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그 거리감을 느낄 수 없을 정도이니 용추사가 장수사의 부속암자라기보다는 차라리 장수사의 별원쯤이 아니었을까 싶다.

인근 영각사(靈覺寺)에 화엄경판을 봉안했던 설파당 상언 대사의 비문(雪坡大師碑銘, 한국고승비문총집)에 “33세에 용추 판전에서 강좌에 올랐다.”는 기록 또한 장수사에 못지 않은 용추암의 위상을 알려주고 있기에 말이다.

하지만 아쉽게도 지금의 용추사는 6·25 전란 중에 장수사와 함께 불탄 후 다시 세워진 전각들로 옛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다. 다행히 장수사가 불타기 직전 모셔내왔다는 대웅전의 부처님과 명부전의 시왕님만이 잊혀져가고 있는 대가람의 당당했을 모습을 말없이 증명해주고 있을 뿐이다.

“오륙십 년 전이죠. 국민학교 때 합천 해인사에 가보면 여기 용추 아랫절보다 못했습니다. 장수사가 그렇게 좋았는데…”

마침 일가의 49재를 의논하기 위해 용추사를 찾아온 노 처사님 내외분의 회상 중에 장수사와 용추사의 기억이 아련하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