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을 닦는 이는 교와 선이 다르지 않음을 바르게 살핀다
상태바
대승을 닦는 이는 교와 선이 다르지 않음을 바르게 살핀다
  • 관리자
  • 승인 2007.09.2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승법석/부암 운묵(浮庵 雲默) : 생몰연대 미상

고려 불교의 가장 큰 성과로 팔만대장경을 꼽는 데 별다른 이의를 제기할 여지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청정 수행 가풍을 드날린 보조 지눌 국사의 수선사(修禪社)와 원묘 요세(圓妙 了世) 국사의 백련사(白蓮社) 역시 빼놓을 수 없는 크나큰 성과이다. 수선사와 백련사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온 누리에 드날리고 중생의 삶에 정신적 기틀이 되었던 해동 불교의 정맥을 회복하고자 정진했다. 또한 날로 혼탁을 더해 가던 고려 불교의 왜곡된 모습을 바로잡고자 정진했던 백련사의 법을 이은 분이 부암 운묵 대사이다. 부암은 법호이고 운묵이 법명이다. 대사는 백련사 4세 법주인 진정 천책(眞淨天 ) - 불인 정조(佛印 靜照)의 선맥을 이어, 평생을 선(禪)과 교(敎)에 두루한 수행으로 일관하신 분이다.

대사의 생애에 관해서는 그리 많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다만 승과(僧科)에 합격하여 굴암사(窟 寺) 주지를 맡았으나, 모든 것을 뒤로 하고 시흥산(始興山)에 암자를 지어 은거하며 정진으로 일관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대사는 선풍에 투철한 백련사의 맥을 이었으면서도, 『법화경』 독송, 아미타불 염송, 불화 그리기, 사경(寫經) 등을 두루 섭렵하여 어느 한 편에 치우치지 않은 수행 가풍을 남겼다.

저서로는 『석가여래행적송(釋迦如來行蹟頌)』 2권과 『천태말학운묵화상경책(天台末學雲默和尙警策)』 1권이 있다.

『석가여래행적송』은 부처님의 행적을 게송(偈頌)으로 읊고 다시 주석을 보탠 저술로, 1330년 간행되었다. 『행적송』은 부처님의 탄생과 성도(成道), 전법(傳法), 인도불교의 중국 전래, 중국의 폐불(廢佛) 사건 등과 역대 조사들에 관한 기록을 다루고 있다. 대사는 『행적송』에서 부처님의 시설(施說) 순서를 오시(五時; 부처님께서 가르침을 베푸신 과정을 화엄(華嚴), 아함(阿含), 반야(般若), 방등(方等), 법화(法華) ·열반(涅槃) 등의 다섯 시기로 분석, 정리한 중국 천태 지의 대사의 이론)에 맞추어 설하고 있다. 이로 미루어 운묵 대사가 고려 천태종의 맥을 계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나, 대사는 종파 하나에 치우쳐 집착하지 말아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행적송』은 당시 고려 승단의 부패와 혼탁, 수행자로서의 나태한 모습을 통렬하게 질책하는 동시에 수행자로서의 자기 성찰을 치열하게 전개하고 있어, 오늘날에도 반드시 비추어 봐야 하는 수행 지침서이다. 이번 호에서는 『행적송』 가운데 부처님의 가르침이란 어느 한 편에 치우치지 않은 것이며, 모든 방편시설이 원융회통하고 있음을 지적하는 내용의 일부를 소개한다. 원문은 『한국불교전서』 제 6책 485쪽에서 540쪽에 실려 있다.

『석가여래 행적송』

무릇 모든 부처님과 여래께서는 모든 중생의 제각기 다른 근기에 맞추어 온갖 법을 설하셨으나, (크게) 네 가지를 벗어나지 않는다. 첫째는 있음의 가르침(유문; 有門)이요, 둘째는 공의 가르침(공문; 空門)이며, 셋째는 있기도 하며 공하기도 한 것에 대한 가르침(역유역공문; 亦有亦空門)이고, 넷째는 있음도 아니며 또한 공도 아닌 것에 대한 가르침(비유비공문; 非有非空門)이다. 모든 것이 (항상 변함없이 실체로서) 있다고 집착하는 중생을 위해 공의 가르침을 베푸셨으며, 있기도 하며 공하기도 한 것에 집착하는 중생에게는 있음도 아니며 또한 공도 아닌 것에 대한 가르침을 설하셨다. 때문에 부처님의 가르침에는 (어느 하나만이 옳다고) 정해진 것이 없으며, 법 또한 정해진 것이 없도다. 다만 중생들의 근기에 적합한 가르침을 펴셨을 뿐이로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