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산 치하에서 ‘좇’ 수행의 맥을 지켜낸 몽골의 어머니 -
상태바
- 공산 치하에서 ‘좇’ 수행의 맥을 지켜낸 몽골의 어머니 -
  • 관리자
  • 승인 2007.09.2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내가 감동한 밀교의 여성들5/돌징 칸돌마 보살 1

공산국가가 되기(1921) 이전의 몽골은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티벳이나 부탄처럼 온 국민이 밀교를 신봉하는 열렬한 불교국가였다.

성인 남자 3명 중에 하나가 승려였고 승려가 국가의 최고 통수권자였다. 세계 최대의 제국을 이루어낼 수 있었던 그 강렬한 에너지를 불교에 쏟아부었으니 밤하늘 고비사막의 별처럼 헤아릴수 없이 많은 대 마스터들이 나왔다.

그러나 스탈린의 지령을 받은 최발싼은 그 엄청났던 몽골의 불교를 아주 흔적도 없이 철두철미하게 쓸어버렸다. 돌징 칸돌마는 장구한 세월에 걸친 공산의 그 처절하고 캄캄했던 암흑기에 몽골 탄트라 수행법의 중요한 한 맥을 지켜서 이어주었기에 그 어떤 위대한 마스터들보다도 빛을 발하는 것이다.

어려웠던 시절에 찾아온 인연

내가 돌징 칸돌마 보살을 친견하고 ‘좇’이며 ‘좇치’같은 용어들을 처음 알게 된 것은 1994년 겨울이었다. 어렵게 사는 사람들이 많은 빈민국들을 떠돌면서 ‘지구상에 지속되고 있는 이 많은 인간들의 어려움을 잠시도 잊지 말자! 아무리 어려워도 쉬운 길보다는 보살도로 나가는 길을 선택하자!’는 서원을 세웠고 나름대로는 비장한 각오를 하고 몽골에 들어 왔지만 체제가 붕괴된 직후 극도의 혼란과 물자부족을 겪고 있는 몽골에서 승려의 아내로 더구나 젖먹이의 어미로 산다는 것이 너무나 힘에 부치던 때였다.

방과 후에도 스님과 함께 밤을 새며 일을 해야 하는 학생들이 상주했고 조금만 인연이 있어도 거기 기대어 시골에서 찾아와 몇 날이고 몇 달이고 묵고 가는 사람들이 끊임없이 이어졌다. 아침에 일어나 방문을 열면 맨바닥에서 옷을 덮고 자는 사람들이 부엌바닥은 물론이고 통로 까지 가득 차서 발디딜 틈이 없을 정도였다.

더러운 신발을 결코 벗으려고 하지 않는 그 많은 몽골사람들과 부대끼며 수도꼭지가 하나밖에 없는 조그만 집에서 기어 다니는 젖먹이를 키우는데 물과 전기와 난방이 동시에 끊어지는 날이 그렇지 않은 날보다 더 많았다. 말도 통하지 않는 몽골사람들은 나의 어려움을 이해하기보다는 그들보다 뭔가를 더 가지고 있다는 것을 몹시도 부러워했고 일거수 일투족을 늘 동물처럼 구경당하며 살아야 했다.

채소라고는 감자 뿐인데 그것도 귀한 탓에 냄새가 역한 양고기만 먹자니 오랫동안 인도에서 채식을 하던 몸이 적응을 못하고 몇 달이 가도 설사가 그치질 않았다. 그러다가 혹독한 몽골의 겨울이 깊어지자 결국은 쓰러져 날짜가 어찌 가는 줄도 모르고 고열을 내면서 속수 무책으로 앓고 있었다.

어느 날 아띠야라는 학생의 어머니가 내가 아프다는 소리를 듣고 나를 위해 기도를 하겠다며 찾아왔다. 아띠야는 우리집에 상주하는 학생 중의 하나였는데 공부도 잘했지만 가사일에 엉거주춤한 다른 학생들과는 달리 요리며 빨래, 청소 등을 익숙하게 잘해서 나를 크게 도와 주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