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척간두(百尺竿頭)
상태바
백척간두(百尺竿頭)
  • 관리자
  • 승인 2007.09.1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스님의 그늘, 동산(東山) 스님

지난 호에서, 동산 스님께서 노보살에게 한생각 바꾸면 나날이 종은 날이 된다고 하셨는데 노보살이 동상 스님에게 깊이 합장을 하고 물러갔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노보살이 물러간 뒤, 옆에서 자초지종을 지켜본 한 수좌가 "스님, 말은 쉬워도 실제로 생각을 바꾸기는 쉽지 않습니다. 어떻게 해야 생각을 바꿀 수 있습니까?" 하였다. 이에 동산 스님께서 "백척간두 (百尺竿頭)에서 진일보(進一步)하라."하셨다.

글자 그대로 새기면 백척간두는 백 척이나 되는 대나무 끝이다. 진일보는 그 높은 대나무 끝에서 한걸음 나아가는 것이다. 마치 벼랑 끝에 겨우 버티고 서 있는 사람에게 앞으로 나 아가는 것과 같다. 백 척의 높은 대나무 끝에 매달려 겨우 목숨을 부지하고 있는 사람에게 대나무를 놓아버리라는 말이다. 허공을 나는 재주가 없는 다음에야 백척간두에서 진일보하 다가는 죽음뿐이다. 그러니 동산 스님의 말은 그 죽음의 두려움을 무릅쓰고 죽음 속으로 뛰 어들지 않으면 한 생각 바꿀 수 없다는 뜻으로 들린다.

'백척간두 진일보(百尺竿頭 進一步)', 이 말은 본래 중국의 장사 경잠(長沙 景岑) 선사가 한 말이다. <전등록(傳燈錄)>에 보면 경잠 선사가 게송을 읊고 있는데 "높이가 백 척인 대나무 끝에서 움직이지 않는 사람을 깨달았다고 하지만 진여(眞如)라고 하지 않겠다. 백 척의 대나 무 끝에서 걸어 나아가야 시방세계(十方世界)가 비로소 자기 몸이 되리라." 하였다.

선가(禪家)에서는 옛부터 경잠 선사의 게송에 근거해서 '백척간두'를 수행의 결과로 도달한 깨달음의 경지라고 해석한다. 그러나 경잠 선사는 게송에서 그 깨달음의 경지에 집착해서 꿈쩍도 않고 있는 것은, 마치 곡예사가 긴 장대 끝에 매달려 있는 것보다도 의미가 없다고 한다. 수행인이 무한히 향상해서 도달해야 하는 경지는 혼자서 즐기는 깨달음의 경지가 아 니라 그 경지에서 밖으로 나아가 시방세계, 즉 중생의 세계로 뛰어들어가 중생을 이롭게 하 는 행동이 있어야 한다고 한다.

깨달음의 경지에 안주(安住)하지 않고 이타행(利他行)을 하기 위해서 중생세계로 뛰어드는 대전환을 요구하는 것이 '백척간두 진일보'이다. 어떻게 해야 백척간두에서 앞으로 나아가 대전환을 할 수 있는가.

사람들은 백 척의 높은 대나무 밑에서 떨어지면 죽는다는 생각에 얽매여 있다. 백척간두에 올라서 발을 떼면 떨어져 죽는다는 생각 때문에 힘껏 붙잡고 놓지 않는다. 얼마나 힘들여서 도달한 깨달음의 경지인가. 얼마나 힘들여서 어렵사리 쌓아올린 부(富)이며 지위이며 권력인 가. 그것들을 잃으면 죽는다는 생각 때문에 감히 버리지 못하는 것을 과감히 버리는 것이 진일보이다.

진일보 못하는 것은 살고자 분별하고 헤아리는 마음이 있기 때문이며 분별하고 헤아려서 집 착하기 때문이라고 선사(禪師)들은 말한다. 그리고 동시에 분별하고 헤아리고 집착하는 마음 을 버리라고 한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