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사회의 불교
상태바
경쟁사회의 불교
  • 관리자
  • 승인 2007.09.1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풍경소리

현대사회는 열린 사회이며 경쟁 사회이다. 어떠한 분야에 있어서도 물리적 힘이나 시대적 폐쇄성에 의한 특정 주체의 독점적 위치가 영구적으로 보장될 수는 없다. 이러한 현상은 정치·경제·예술 등 세속적 부문에만 국한 된 것이 아닌 바, 민족문화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불교의 위상에 심각한 변화를 초래하게 될 개연성에 대해서도 조심스럽게나마 언급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종교가 세속적 경쟁에는 초연한 일면이 있다 하여도, 또한 그러한 우려의 결과가 수백 년 후의 일일지라도 기우(杞憂)라 할 것만은 아닌 것이다.

이로써 우리는 긴 세월 동안 역사 속에 투영되어 온 불교의 모습을 돌이켜 보면서, 민중의 삶 속에 보다 밀착된 언어로서 다가설 수 있도록 사고의 대전환의 기회를 가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어설프게나마 산업 사회에서 가장 뛰어난 시스템이라 할 수 있는 기업에 대한 경영진단의 논리를 하나의 비유로써 적용하여 보자.

가설

우선 불교를, 붓다의 깨달음이라는 인류역사상 가장 뛰어난 최첨단 기술(교리)을 보유하고 국민경제의 근간으로서의 책임(중생구조)을 다하는 기업이라 하자. 이러한 최첨단 기술을 응용하여 다양한 제품(포교)을 개발함으로써 소비자(중생, 국민)의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은 경영자(종단 관계자)와 사원(승가조직)의 의무이다. 이사회(종회와 주주총회(신도회)는 경영자의 의사 결정에 대해 견제 기능을 가지고 잇다. 또한 주주(신도)는 일반적인 소비자보다는 적극적으로 출자(시주)를 하며, 기업의 이미지 제고에 경영자와 사원 못지 않은 책임과 권한을 가지고 있는 이해관계자이다.

제품의 질

우주개발을 위한 첨단기술이 수십 년 후에나 상품화되어 일반인에게 보급된 것처럼, 최첨단 기술(불법)이 소비자의 생활 속에서 활용되기에는 그 제품의 질이 너무 높았으며, 문맹 시대에 그 제품에 관한 정보를 전달할 미디어(포교수단) 또한 부족하였던 것이다. 그 제품은(천 년 동안의 왕실 불교에서 보듯이) 극소수의 상류층 소비자만이 사용할 수 있었으며, 현재에 이르러서도 그 중 상당 부분은 활용되지 못한 채 사장되고 있거나, 활용되고 있는 부문도 소비자에게 친절한 사용설명서(우리말 경전)가 부족한 실정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