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백(兩白)이 갈라지는 화엄성지 - 부석사, 비로사, 희방사
상태바
양백(兩白)이 갈라지는 화엄성지 - 부석사, 비로사, 희방사
  • 관리자
  • 승인 2007.09.1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바라밀국토를 찾아서, 영주시 지역

최근의 시도 통합으로 통합 영주시가 된 이곳 영남땅의 시발지를 그냥 영주시로 부르기에는 너무도 많은 사연들을 그 속에 묻어버리는 듯하다. 오랫동안 불리워졌던 고유의 지명이 아직은 더 친근하기 때문이다. 고려인삼으로 유명한 풍기, 군사요충지로 잘 알려진 순흥, 조선의 개국공신인 정도전의 고향이자 영남유맥(儒脈)을 잇는 영주. 이 세 군이 통합된 것은 일제시대인 1914년이었다. 그러다 1971년 영주가 시로 불리되고 나서 불린 군 이름이 영풍, 다시 24년만에 영주시로 통합된 것이다.

지난 두 달 동안 찾은 곳들이 우연찮게도 화엄성지들이어서 내친 김에 동방의 화엄종찰 부석사가 있는 이곳을 향하기로 작정했다. 산골에서는 아직 봄소식이 더디게 다가오고 있었다. 이맘때면 아무 곳에서고 지천이 되기 십상인 개나리, 진달래도 찾아볼 수 없었고 달래, 냉이 따위의 풋것들도 냉큼 눈에 띄지 않았다. 산꾼들에게 '남한 제일의 겨울산행처'라고 소문난 소백의 연봉이 아직도 흰머리를 하고서 으름장을 놓고 있기 때문이었다.

육지 소의 삼다제주(三多濟州)라고 불리웠다는 이 곳. 바람이나 여자야 어떤지 몰라도 돌은 산 속마다 가득가득 했다. 나무를 제하고 나면 온전히 돌산이 될 듯 싶었다. 이 돌산은 그냥 돌산이 아니다. 천미터를 훨씬 넘는 준령들이다. 하기야 명주의 본고장인 평안도 영변사람들이 정감록의 난세를 피할 양백(兩白 - 태백과 소백)의 피난처로 여기고 이곳에 내려와 살았다고 하니 풍수에 숙맥인 사람이 보기에도 험한 산세에 파묻힌 지형이 예사롭지 않다.

부석사는 양백이 갈라지는 가장 깊은 골짜기 속, 하지만 땀 흘려 올라서면 온천지가 굽어보이는 산등성이에 세워져 있다. 삼단의 기단석이 층층이 쌓여진 전형적인 계단식 가람배치를 보이고 있는데 그 솜씨가 창건주 의상 대사 때의 것이라 하니 천년 동안 변함없이 유지된 신라 장인의 축조기술이 놀라웁기만 하다. 부석사는 창건설화로도 유명하다. 설화를 뒷받침하는 선묘각(善妙閣)이나 무량수전 우측의 부석(浮石), 마당의 용틀임하는 용바위들을 찬찬히 살펴보는 재미가 살갑다.

부석사에는 국보 17, 18, 19, 45, 46호의 석등, 무량수전, 조사당, 소조여래좌상, 조사당벽화 등의 성보가 모셔져 있어 신라시대부터 고려에 이르는 불교미술의 진수를 맛볼 수도 있다. 이중 무량수전은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목조건축으로서 수덕사 대웅전, 봉정사 대웅전 등과 더불어 고려시대의 건축미를 간직한 아름다운 건물로 꼽힌다. 또한 조사당벽화는 현재 보존상의 문제로 다른 곳으로 옮겨 모시고 있으나 역시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불화로 꼽힌다.

문화재 전문위원이었던 최순우 선생이 우리나라 경치 중에서 엄지로 꼽았던 부석사 무량수전 앞 안양루(安養樓)에서 바라보는 태백준령의 모습이 오늘은 짙게 드리운 운무에 가려 희끄무레하게밖에 볼 수없었다.

부석사는 소백의 줄기라기보다는 태백의 본령에 치우쳐 있다. 그래서 그런지 일주문에도 '화엄종찰 태백산 부석사'라고 쓰여 있다. 소백의 줄기를 타고 내려오면서 의상 대사와 관계있는 사찰이 또 있다. 바로 비로사다. 소백산 비로봉 아래 있기에 저 아래 풍기에서부터 올라가자면 왕복 한나절이 꼬박 걸리는 등산로이다. 하지만 요즘은 버스가 띄엄띄엄 다니며 좁은 산길로 세속의 홍진을 실어나르고 있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