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서 활약한 우리 스님들ㅡ고구려편ㅡ
상태바
해외에서 활약한 우리 스님들ㅡ고구려편ㅡ
  • 관리자
  • 승인 2007.09.08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불교사

  일본 초대 승도(僧都) 덕적(德積)

 일본  서기(日本書紀 卷22 推古32年)에 의하면 일본에서는 624년(推古32년) 4월에 처음으로 스님들을 단속하고 보살피기 위한 승니 검교(僧尼檢校)의 교단통제(敎團統制)기구이며, 소임인 승정(僧正)과 승도(僧都)를 두었는데, 관륵(觀勒)을 승정으로 삼고 안부 덕적(鞍部德積)을 승도로 삼았다는 것이다.

 승정은 말 할 것도 없이 교단 최고의 통제 책임을 행사하는 소임이며, 승도는 승정을 보좌하는 승정 다음의 교단 책임자이다. 이러한 교단제도는 물론 중국에서 비롯되었던 것인데, 남북조(南北朝)시대에 주로 남조에서 행하여졌던 승단통제기구였다. 북조에서는 주로 승통(僧統)과 도유나(都維那)의 제도가 행해졌으므로 고구려와 신라가 이 승통 도유나의 제도를 택하였었다.

 백제에서는 중국 남조의 제도인 승정과 승도의 제도를 택하였었기 때문에, 일본으로 건너 갔던 백제의 고승 관륵(觀勒)이 일본 조정에 건의하여 비로소 설치하게 된 교단통제의 기구이므로 승정과 승도를 두었던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고 할 수가 있다.

 그와 아울러서 최초의 승정을 백제의 관륵스님으로 삼았다는 것도 이해가 간다고 할 것이다. 그런데 승정 다음의 승직(僧職)인 승도(僧都)를 안부 덕적(鞍部德積)으로 삼았다는 것이다.

 일본서기(日本書紀 )에는 최초의 승정(僧正)인 관륵은 백제의 스님임을 분명하게 밝히고 있는데, 승도인 안부 덕적에 관해서는 전혀 그 언급이 없다. 뿐만 아니라 그 이름 자체가 일본인의 이름처럼 보이고 있어서 스님의 이름같지도 않은 것이 사실이다.

 스님의 이름을 안부덕적(鞍部德積)이라 한 것은 아무래도 이상하다. 그렇다고 스님 아닌 속인에게 승도(僧都)라는 중책을 맡겼을 리가 없을 것이다.

 특히 중국의 경우 승도는 북조 계통의 도유나(都維那,신라에서는 大維那)와 같이 승정 (또는 승통)을 도와 승니의 기강을 바로잡고 총찰하는 중요한 승직으로 되어 있다.

 그와같은 교단통제의 중요한 승직(僧職)을 스님이 아닌 일반 속인으로 임명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러므로 그 이름의 앞부분인 안부(鞍部)는 실은 그의 이름이 아니고 그 뒤에 붙은 덕적(德積)이 그 승명(僧名)일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일본서기(日本書紀 )보다도 훨씬 후대의 일본 사서(史書)에는 덕적이 고구려의 스님으로 보이고 있다. 즉 승강보임초출(僧綱補任抄出 上 推古32년 조)에는 승도 안부덕적은 고구려 사람(高麗國人也)이라고 있다.

 그리고 본조고승전(本朝高僧傳)의 백제산문 관륵전(百濟沙門 觀勒傳)에는 관륵을 승정으로 임명하고 고구려 덕적을 승도로 삼았다.<勒任僧正 高麗 德積爲僧都>라고 있다.

 물론 이 때의 고려는 고구려를 지칭한 것이므로, 이상의 두 글을 통해서 덕적이 고구려의 스님이었음을 알 수가 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